취임 100일 김기덕 우정본부장
“택배와 국제특송 사업 강화로 우편사업의 위기를 돌파하겠습니다.”![김기덕 우정본부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1/23/SSI_20151123171512_O2.jpg)
![김기덕 우정본부장](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1/23/SSI_20151123171512.jpg)
김기덕 우정본부장
그는 취임 직후 지난 1년 6개월간 중단한 토요 택배 재개를 시작으로 택배사업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편·예금·보험을 3대 축으로 하는 우정사업본부 사업 중 택배는 우편부문 수익의 25%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업무다. 향후 정보통신기술(ICT) 시대를 맞아 배송 수요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성장 잠재력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 본부장은 “향후 더욱 차별화된 서비스로 믿을 수 있는 택배사업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우편부문 내 또 다른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국제특송은 우정사업본부가 이미 국내 업계 1위를 달리고 있지만 추가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중국 등에서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산 제품을 사가는 해외 역직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원가경쟁력을 강화하면 수익을 확대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는 “중국 등 각국 우정청들과 2㎏ 이하 소량 국제특송 수수료를 낮추기 위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본부장은 특히 “전국 도서산간 각지에 골고루 분포된 3500여개 우체국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를 이끌 비즈니스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미 우체국은 소상공인의 판로를 열어 주고 알뜰폰 판매를 대행하면서 수익을 내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이를 토대로 한 다양한 신규 사업을 발굴한다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그는 “금융자금의 벤처투자를 확대하고, 우체국 물류 플랫폼 개방을 통한 제휴사업 확대로 중소상공·농업인의 판로를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본부장은 이처럼 우편사업 쪽 수익을 강화하면서 본연의 공공성도 지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수익성을 목표로 하는 은행은 도시 지역에 지점 90% 이상이 집중돼 있지만 우체국은 55%가 비도시 지역에 분포돼 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김기덕 본부장은 제29회 행정고시 출신으로 1987년 삼천포우체국장에 부임해 30년 가까이 우정사업본부에서 잔뼈가 굵은 정통 ‘우정맨’이다. 경북고와 서울대 조경학과를 졸업한 그는 우편사업단장, 서울지방우정청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뒤 지난 8월 취임했다. 2001년 영국 켄트대에서 국제정치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매출 약 10조원(우편 2조 8000억원, 예금 2조원, 보험 5조 3000억원), 직원 4만 1000명의 거대 정부 조직인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를 이끌고 있다.
2015-11-2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