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염려에도 “탄산음료가 좋아”

건강 염려에도 “탄산음료가 좋아”

장은석 기자
장은석 기자
입력 2015-12-02 22:26
업데이트 2015-12-02 2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국민 1인당 하루 1컵 마셔

가공음료 가운데 사람들이 탄산음료를 가장 많이 찾고 있다. 탄산수 시장도 최근 눈에 띄게 성장하고 있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해 생수와 우유를 제외한 국민 1인당 가공음료 소비량은 하루 평균 185㎖였다. 종이컵(195㎖)으로 매일 한 잔 정도를 마시는 셈이다. 탄산음료(탄산수 포함)가 81㎖로 절반(44.2%) 가까이 차지했다. 이어 과채주스 27.8㎖(15.2%), 커피(액상) 17.6㎖(9.6%) 순이었다.

최근 3년간 과채주스의 연평균 판매액은 9% 감소한 반면 탄산음료와 커피는 각각 7.5%, 4.5% 성장했다. 특히 탄산음료는 당류 과다섭취 등의 우려에도 판매액이 2012년 7991억원에서 2014년 9228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탄산음료 가운데 콜라 점유율이 38.1%로 가장 높았고 우유·탄산 혼합음료와 에이드류 등 기타 탄산(32.1%), 사이다(25.6%), 착향탄산(4.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함께 탄산수 소매시장이 400억원 규모로 성장하면서 탄산음료를 대체하는 품목으로 떠올랐다. 탄산음료 소비자 5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53%)이 탄산음료를 오후에 기분 전환이나 피로 해소를 위해 마신다고 답했다.

판매액 기준으로는 커피의 비중이 가장 컸다. 커피 판매액은 9706억원으로 전체 4조 3000억원 규모의 음료 소매시장에서 22.6%를 차지했다. 과채주스는 전반적으로 판매가 줄고 있지만 자몽주스는 최근 3년간 연평균 101.1% 성장률을 보이며 홀로 급증했다. 과즙 농축액에 향료를 첨가한 일반 냉장 과일주스 시장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8.8% 감소했다. 반면 다른 첨가물을 넣지 않은 착즙주스 매출액은 15.3% 늘기도 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12-03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