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GNI도 전기比 1.4% 늘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실질 국민소득(GNI)도 늘어났다. 그런데 별로 체감이 안 온다. 늘어난 소득보다 비소비지출이 더 많이 늘어난 데다가 쓸 돈도 정부의 각종 대책으로 앞당겨 썼기 때문이다. 소득 증가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내년에 ‘소비절벽’이 우려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04/SSI_2015120402101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5/12/04/SSI_20151204021014.jpg)
GDP는 전기보다 1.3% 성장했다. 2010년 2분기(1.7%) 이후 5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1.2%)보다는 0.1% 포인트 높아졌다. 임태옥 한은 경제통계국 차장은 “속보치에서는 건설기성액을 추정해서 반영했는데 실제 수치가 추정치보다 높았다”고 설명했다. 3분기 건설업 생산은 전기보다 5.6%나 급증했다. 2009년 1분기(6.2%) 이후 6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3분기 GDP성장률(1.3%)에서 건설투자의 기여도가 0.7% 포인트다. 성장률의 절반이다. 건설투자를 포함해 내수의 기여도가 2.0% 포인트다. 순수출이 -0.8% 포인트로 성장률을 깍아 먹었다. 지난해 이뤄진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 완화가 부동산 경기의 호전을 가져왔고 개별소비세 인하,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등 정부의 소비 진작책이 큰 기여를 한 것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3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전기보다 5.7% 늘었다. 소득 증가율(3.1%)을 웃돈다.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최근 취업자 수 증가로 근로소득이 조금이나마 늘어났지만 고용보험료, 건강보험료, 연금 등 비소비지출의 증가세가 더 가파르다”고 설명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12-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