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생수시장은 부동의 1위 제주 삼다수를 제외한 2위 다툼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심이 3일 닐슨코리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1~10월) 생수시장 점유율 1위는 제주 삼다수였다. 제주 삼다수의 점유율은 지난해보다 6.3% 상승한 45.2%를 기록했다. 150여개 국내외 생수 브랜드가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5%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는 것은 4개 브랜드에 불과했다. 절대강자 제주 삼다수 아래 2위 자리를 놓고 3개 생수 브랜드들이 각축을 보였다. 아이시스 8.0은 올해 점유율 5.8%로 2위를 차지했다. 3위인 백두산 백산수의 점유율은 5.6%, 4위인 강원 평창수의 점유율은 5.4%로 순위별 점유율이 0.2% 포인트 차이에 불과했다. 시장 점유율 5위인 아이시스의 점유율은 2.7%였다.
전체 생수시장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생수시장은 지난해(5900억원)보다 5.5% 성장한 6220억원으로 전망됐다. 이는 2009년 3300억원에서 6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농심이 3일 닐슨코리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1~10월) 생수시장 점유율 1위는 제주 삼다수였다. 제주 삼다수의 점유율은 지난해보다 6.3% 상승한 45.2%를 기록했다. 150여개 국내외 생수 브랜드가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5%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는 것은 4개 브랜드에 불과했다. 절대강자 제주 삼다수 아래 2위 자리를 놓고 3개 생수 브랜드들이 각축을 보였다. 아이시스 8.0은 올해 점유율 5.8%로 2위를 차지했다. 3위인 백두산 백산수의 점유율은 5.6%, 4위인 강원 평창수의 점유율은 5.4%로 순위별 점유율이 0.2% 포인트 차이에 불과했다. 시장 점유율 5위인 아이시스의 점유율은 2.7%였다.
전체 생수시장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생수시장은 지난해(5900억원)보다 5.5% 성장한 6220억원으로 전망됐다. 이는 2009년 3300억원에서 6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커진 것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12-0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