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팍해진 농가살림…소득보다 자재비용 더 올라

팍팍해진 농가살림…소득보다 자재비용 더 올라

입력 2015-12-10 09:13
수정 2015-12-10 09: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 10년간 농가가 농축산물을 팔아 거둔 소득보다 임금과 농자재 가격 등이 더 큰 폭으로 올라 농가 채산성이 나빠졌다.

10일 농협의 ‘농산물 가격 측면의 농가경제 추이’ 보고서에 따르면 농가가 판매한 농축산물 가격 지표인 농가판매가격지수는 2005년 92.5에서 지난해 111.3으로 20.3% 상승했다.

같은 기간 농가가 부담한 임금과 농업용품 등을 사들인 가격을 나타내는 농가구입가격지수는 81.8에서 108.4로 32.5% 올라 상승폭이 더 컸다.

농가판매가격지수 증감률을 종류별로 보면 청과물이 31.2% 상승했고 곡물과 축산물은 각각 14%, 5.9% 증가했다.

농가구입가격지수는 농촌임료금이 51.9%나 오르고 농업용품(46.7%), 기계용품(25.5%)도 가격지수가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농가판매가격지수를 농가구입가격지수로 나눈 값으로 농가 채산성 지표인 농가교역요건지수는 2005년 113.1에서 2014년 102.7로 10.4%포인트 낮아졌다.

농축산물 판매가격이 농사를 지으려고 산 물품값보다 낮아지는 기준인 100에 농가교역요건지수가 근접하고 있다.

물가상승 영향을 배제하고 실질 가격 기준으로 보면 농축산물 판매가격은 하락하고 가계용품·농업용품·농촌임료금 구매 가격은 상승했다.

실질 가격 기준으로 계산한 농가판매가격지수는 10년 새 4.9% 떨어지고(107.4→102.1)하고 농가구입가격지수는 4.7% (95→99.4) 뛰었다.

농축산물 판매가격이 물가 상승률만큼 오르지 않은 반면 구매 가격은 물가 상승률보다 더 가파르게 올랐다는 뜻이라고 농협은 설명했다.

이처럼 농축산물 판매가격은 정체하고 농업 경영비가 늘어나 농가가 주업인 농업으로 거둔 소득은 10년 전보다 줄었다.

농가 호당 평균 농업소득은 명목가격 기준으로 2005년 1천182만원에서 2014년 1천30만원으로 12.9% 줄고, 실질가격 기준으로는 1천372만원에서 945만원으로 31.2% 감소했다.

물가가 올랐는데도 농가가 농축산물을 팔아 올린 소득이 오히려 줄어든 것이다.

농가가 농업 생산만으로 소득을 충당하기 어려워지면서 농가 주 소득원이 농업소득에서 농업 외 소득으로 바뀌고 있다. 농가소득 중 농업 외 소득 비중은 2005년 32.4%에서 2014년 42.3%로 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