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리 PB의 생활 속 재테크] 불확실성 커지는 금융시장 만기 3개월미만·금리 3%대 ‘전자단기채’ 투자해볼만

[김형리 PB의 생활 속 재테크] 불확실성 커지는 금융시장 만기 3개월미만·금리 3%대 ‘전자단기채’ 투자해볼만

입력 2015-12-15 18:04
업데이트 2015-12-16 01: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금리 인상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전 세계 금융 시장이 어느 때보다 불안하다. 이런 불확실한 시기에 내 돈을 안전하게 맡길 만한 투자처가 어디 없을까. 최근 주식보다 안전하면서 정기예금 금리보다 높은 연 3%대 금리를 주는 채권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바로 만기가 3개월 미만인 ‘전자단기사채’(전단채)가 그 주인공이다.

전단채는 기업이 단기자금 조달 목적으로 발행하는 회사채다. 실물이나 종이가 아닌 전자 방식으로 발행돼 일반인도 특정 회사의 (전단채) 총 발행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불투명한 기업어음 발행으로 투자자를 울리는 관행을 없애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지난 3분기에만 256조원어치가 발행됐다.

이 채권은 회사 신용도와 기초자산에 따라 A1~A3 등급으로 나뉜다. A1, A2 등급은 연 2.5~3%대 금리로 발행된다. A3+등급 이하는 최대 8%까지 금리가 책정된다. 대신 그만큼 위험이 커진다.

전단채 위험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은행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전단채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통한 구조화 금융 상품이 많다. 해당 프로젝트 사업성이 떨어지거나 분양이 지연될 경우 원리금 지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둘째, 건설사의 신용 위험이다. 신용등급이 하락하거나 부도 등의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만기 불일치의 위험이다. 기초자산 만기에 비해 상품 자체 만기가 짧은 편이다. 유동성에 문제가 생겨 현금흐름이 막히는 경우 만기 연장을 못하게 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자산가들은 이런 위험에도 불구하고 회사채보다 전단채를 선호한다. 만기가 긴 회사채에 비해 전단채는 3개월 만기가 대부분이라 되파는 데 어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회사채는 중도환매로 인한 손실이 비교적 큰 편이다. 최소 투자금액은 판매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5000만원 이상이다. 사모펀드에 가입하듯 은행에 가서 매주 나오는 상품을 보고 신청하면 된다.

전단채와 함께 기업어음(CP)도 자산가들의 투자처로 각광받는데, 수익률은 연 2~3%대 중반이다. 만기는 6개월에서 2년이다. 현재 발행되는 CP 중에서는 ‘한진칼채권’이 연 3.62%로 가장 높다. 1억원 이상 투자하면 분기마다 이자를 준다. CP를 고를 때도 신용등급을 따져야 한다. A1~A3등급을 받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다. 전단채, CP 모두 내년 상반기 금융 시장이 안정화되기 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단타’를 노리는 자산가들에게 추천한다.

NH농협은행 WM지원팀 차장
2015-12-16 22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