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심의 박삼구, 6년만에 금호산업 되찾아

뚝심의 박삼구, 6년만에 금호산업 되찾아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12-29 16:51
업데이트 2015-12-29 16: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9일 금호산업 인수대금 7228억 완납

 2009년 사실상 해체됐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재건의 신호탄을 쐈다. 박삼구(?사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29일 금호산업 인수에 마침표를 찍고 6년만에 명실상부 그룹 오너의 자리로 복귀했다. 당시 박 회장은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그룹 일선에서 물러났다. 2010년 10월 복귀했지만 이는 그룹 오너가 아닌 채권단이 위임한 경영인으로써였다.

이날 박 회장은 금호산업 채권단에 경영권 지분(지분율 50%+1주)에 대한 인수대금 7228억원을 완납했다. 2009년 12월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을 신청한 금호산업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30.08%를 보유하고 있는 실질적인 그룹 지주회사다. 박 회장 일가는 지난 10월 설립한 새로운 지주사 금호기업(지분 67.7%)을 통해 금호산업의 지분을 보유하게 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이날 금호산업 인수완료 발표와 함께 앞으로의 경영 방침을 밝혔다. 그룹은 앞으로 항공사업·타이어사업·건설사업을 3대 주력 축으로 삼는다. 또 내년도 경영 방침은 ‘창업초심(創業初心)’으로 정했다. 1946년 택시 2대로 창업할 당시로 돌아가 새로운 금호아시아나를 만들어가겠다는 의미다. 박 회장은 “고 박인천 창업 회장은 부지런함·성실·정직·책임감·끈기의 다섯 가지를 늘 강조하셨다”면서 “노력하면 안될일이 없다. 창업의 초심으로 돌아가서 잘 해보겠다”고 말했다.

금호산업을 되찾는 데는 박 회장의 의지와 자금 조달 능력이 변수였다. 앞서 금호산업 지분 57.6%를 보유해온 채권단은 지난해 말 이 중 50%+1주를 매각하는 조건으로 금호산업의 조건부 졸업을 결정했다. 매각작업은 올해 초 본격화 됐다. 금호와 동향인 호반건설이 지난 4월 6007억원에 인수 제의를 했지만 헐값이라며 채권단이 거절했다. 이후 채권단은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진 박 회장과 협상에 들어갔다. 그룹 재건이라는 명분이 달린 만큼 박 회장이 값을 더 쳐주리라 계산한 셈이다. 박 회장은 당초 1조원(주당 5만 9000원)의 가격을 제시했던 채권단에 맞서 결국 7228억원(주당 4만 1213원)에 지분을 되찾았다.

 자금 조달에는 재계가 백기사 역할을 했다. 박 회장은 본인 자금에 CJ, 코오롱 등 재계에서 4200여원의 투자금을 끌어 모았다. 또 인수금융으로 3000억원을 받아 대금 납부를 완료했다. 이제 그룹 재건에 남은 건 금호타이어다. 금호산업과 동일한 시기에 워크아웃을 신청한 금호타이어는 채권단이 지분 42.1%를 가지고 있다. 금호고속은 2012년 구조조정 과정에서 매각했다가 올해 6월 되찾았지만 석 달만에 칸서스HKB 사모펀드에 되판 상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