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證 100세시대硏 보고서
부자들은 중산층보다 아침밥을 더 챙겨 먹고 운동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이 나아서인지 희망 수명도 상대적으로 중산층보다 더 높았다.매일 아침 식사를 하는 비율은 고소득층이 59.5%로 중산층 49.4%보다 높았다. 고소득층은 점심값으로 평균 7032원을 쓰는 반면 중산층은 6180원을 소비했다. 일주일간 운동 횟수는 고소득층 1.8회, 중산층 1.2회였고, 한 달간 문화공연 관람 횟수는 고소득층 1.4회, 중산층 0.9회였다. 3년간 해외여행을 다녀온 횟수는 고소득층(1.8회)이 중산층(0.9회)보다 2배 많았다.
삶의 여유에서 보인 차이는 정신적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쳤다. ‘인생의 목적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중산층은 ‘가정의 안녕’(40%)이라는 응답이 ‘일상의 즐거움’(31.6%)보다 크게 높았지만 고소득층에서는 두 응답이 각각 37.5%, 36.2%로 비슷했다.
희망 수명도 차이가 났다. 중산층은 평균 82.7세까지 살기를 원한 반면 고소득층은 84.6세로 중산층보다 2세 정도 많았다. 고소득층일수록 전반적인 생활수준이 높고 노후 준비가 잘 돼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거주하고 있는 집의 크기는 중산층이 평균 31평, 고소득층이 평균 37평이었다.
금융자산으로 시선을 옮기면 격차는 더 커진다. 고소득층은 평균 1억 2838만원을 갖고 있어 중산층(5176만원)보다 약 2.5배 많았다. 고소득층은 소득의 26.3%를, 중산층은 19.6%를 저축했다. 두 계층 모두 저축 목적 1순위는 노후 대책이었다. 하지만 자녀교육이나 부채상환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중산층(16.8%, 10.9%)이 고소득층(8.2%, 6.9%)보다 크게 높았다. 당장 써야 할 돈이 많은 만큼 중산층의 48.7%는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았다. 고소득층의 경우 26.7%가 노후 준비에 미흡했다. 중산층은 물론 고소득층도 노년에 빈곤층으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는 얘기다. 서동필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산층의 40%, 고소득층의 15%가 은퇴 후 소득이 100만원에 못 미치는 빈곤층으로 수직 하락할 수도 있다”며 “노후 준비를 미룰 경우 생계가 막막한 상태에서 은퇴에 내몰릴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중요한 건 현재의 차이에서 느끼는 상실감이 아닌 미래의 행복”이라며 “경제 관련 분야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노후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12-3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