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롯데그룹 해외계열사 소유 현황 공개
신격호 총괄회장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지난해 서울 중구 롯데호텔 34층 집무실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왼쪽부터 신 총괄회장,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 전 부회장이 대표로 있는 SDJ코퍼레이션의 민유성 고문, 신선호 일본 산사스 회장.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특히 ‘손가락 경영’을 한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황제형 총수로 군림해 온 신격호 총괄회장의 지분율은 0.1%에 불과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롯데그룹 해외계열사 소유 현황을 공개했다.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민낯’은 신 총괄회장의 첫째 아들인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과 둘째 아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경영권 분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드러나게 됐다.
‘형제의 난’으로 롯데그룹의 불투명한 지배구조가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르자 공정위는 롯데 측에서 총수일가의 해외계열사 주식 소유 자료를 넘겨받아 6개월간 분석 작업을 했다.
롯데 총수 일가가 극히 적은 지분율로 그룹 전체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 계열사를 통한 다단계 출자와 순환출자를 적극 이용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롯데를 제외한 총수가 있는 대기업의 평균 출자 단계가 4개인 반면에 롯데는 최대 24개의 출자 단계를 갖고 있다.
지배구조의 최정점은 1967년 일본에 세워진 포장재 업체인 광윤사다.
총수일가가 광윤사를 통해 롯데홀딩스를 지배하고, 롯데홀딩스가 다른 일본 계열사와 함께 호텔롯데 등 국내 주요 계열사를 직접 지배하고 있다.
김정기 공정위 기업집단과장은 “롯데홀딩스를 지배하면 전체 한·일 롯데그룹을 지배할 수 있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국내 롯데 86개 계열사의 전체 자본금 4조 3708억원 가운데 해외 계열사가 소유한 주식이 액면가 기준으로 22.7%(9899억원)에 이른다.
대부분 롯데홀딩스가 직접 출자했거나 롯데홀딩스가 소유·지배한 12개의 L투자회사를 통한 간접적 출자다.
국내 롯데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인 호텔롯데 경우 해외계열사 지분이 99.3%에 달한다.
일본 계열사를 통해 국내 계열사를 좌지우지하는 형태다.
국내에선 순환출자 고리 67개로 총수일가가 공고한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순환출자는 대기업집단이 ‘A사→B사→C사→A사’처럼 순환형 구조로 지분을 보유하는 것으로, 이런 구조에선 총수가 적은 지분만 갖고도 계열사 전체를 지배할 수 있다.
2014년 7월부터 시행된 개정 공정거래법은 기존 순환출자를 인정하되 대기업이 새로운 순환출자 고리를 만들거나 기존 고리를 강화하는 것을 금지했다.
대기업 전체 순환출자 94개 중 롯데그룹이 71.3%를 차지한다.
롯데그룹 순환출자 수는 416개에 달했으나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주도권을 잡고자 한 신동빈 회장이 349개 순환출자 고리를 일거에 해소해 그나마 67개로 줄어들었다.
이런 구조를 이용해 신 총괄회장은 0.1%, 신동빈·신동주를 포함한 총수 일가는 2.4%의 지분율로 롯데그룹을 지배하고 있다.
김정기 과장은 “롯데는 다른 기업집단에 비해 총수일가 지분율이 낮고 계열사 출자가 많다”며 “비상장 계열사를 이용한 순환출자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