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3개월만에 0%대… 집세·학원비 등은 최대폭↑
저유가에 담뱃값 인상 효과 뚝… 지난달 소비자물가 0.8%↑시내버스·하수도료 등 급등… 체감·지표 물가 간 괴리 커져
1%대로 올라섰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다시 0%대로 주저앉았다. 농산품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도 13개월 만에 1%대로 떨어져 경기 침체 속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되살아났다.
지난해 1월의 담뱃값 인상 효과가 사라지면서 0.58% 포인트, 유가 하락이 이어지면서 석유류 제품이 1년 전보다 10.3% 하락해 전체 물가상승률을 0.43% 포인트씩 끌어내리는 효과를 냈다.
하지만 집세, 학원비 등 서비스요금 상승률은 4년, 집세 상승률은 거의 3년 만에 가장 많이 올라 체감 물가와 지표 물가 간의 괴리는 더 커졌다. 공공요금 등 서비스 부문 물가는 2012년 1월(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2.4%를 기록, 전체 물가를 1.30% 포인트 올렸다. 집세는 2015년 12월보다 0.2%, 지난해 1월보다 2.9% 각각 상승했다. 집세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2013년 2월의 3.0% 이후 가장 높다.
시내버스(9.6%), 하수도(23.4%), 전철료(15.2%) 등 공공서비스와 학교급식비(10.1%), 학원비(중학생 2.7%) 등 개인서비스 요금은 모두 1년 전보다 2.2%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0.2% 올랐고, 신선식품지수는 4.2%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7% 상승, 13개월 만에 1%대로 내려갔다. 지난해 내내 2%대를 보였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9% 상승하는 데 그쳤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농·축·수산물 가격이 오르고 서비스 부문 가격도 상승했지만 담뱃값 인상 효과가 사라지고 저유가 때문에 공업제품 중 석유류 가격이 내린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미국에너지정보청의 전망을 근거로 “앞으로 소비자물가는 유가 하락 등 내려갈 요인이 점차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2-0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