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지수) 폭락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 위험성이 부각되면서 ‘원금 손실 구간’이 없는 노녹인(No Knock-in) ELS 발행이 늘어나고 있다. 금융사들은 연 5% 이상의 수익률을 내걸며 녹인 상품보다 안전하다고 선전하고 있지만, 노녹인도 원금 손실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수익률에 현혹되지 말고 상품 구조를 정확히 이해한 뒤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4일 한국예탁결제원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 들어 ELS 발행금액은 3626억원이다. 이 가운데 71%가 노녹인 상품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14.1%에 불과했다.
H지수 급락 이후 일부 녹인형 ELS가 모집 대거 미달과 함께 발행 취소가 나온 것과 달리 노녹인은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증권사들도 앞다퉈 상품을 내놓고 있다. 이달 들어서만 미래에셋·한국투자·신한금융투자·하나금융투자·교보·신영·삼성·KB투자·현대·대우증권이 출시했다. 신한금융투자증권이 지난달 20~22일 청약을 진행한 ‘신한투자(ELS) 1만2031호’에는 33억원이나 쏠렸다. 이 증권사 관계자는 “개별 ELS 상품 판매액이 보통 10억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3배나 많이 팔렸다”고 말했다.
노녹인형은 원금 손실 진입 구간이 없고 만기 시 상환조건만 충족하면 약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어 녹인형보다 위험도가 낮다.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H지수와 유로스톡스50,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코스피200, 닛케이225 등 주요 증시가 최근 많이 떨어진 상황이라 상환조건 충족(발행 당시 지수의 50~60% 수준)도 수월해졌다. 대부분 상품이 연 6~8%의 수익률을 내걸어 투자자 입장에서는 솔깃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원금 손실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예를 들어 H지수 기초 지수가 8000일 때 상환조건 60%인 노녹인 상품에 가입했다면 상환 시점에서 지수가 4800 이하로 내려갈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2008년 금융위기 때 코스피가 1800대에서 1500~1600으로 떨어지자 많은 사람이 추가 하락은 없을 것으로 봤지만 1000선 아래로 곤두박질쳤다”며 “중국발 리스크가 굉장히 높은 상황에서 각종 글로벌 지수의 추가 하락이 없을 것이라고 단정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상품에 투자할 때는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 분산 투자하고 금융사는 위험도를 축소하거나 숨기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4일 한국예탁결제원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달 들어 ELS 발행금액은 3626억원이다. 이 가운데 71%가 노녹인 상품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14.1%에 불과했다.
H지수 급락 이후 일부 녹인형 ELS가 모집 대거 미달과 함께 발행 취소가 나온 것과 달리 노녹인은 투자자의 관심을 받고 있다. 증권사들도 앞다퉈 상품을 내놓고 있다. 이달 들어서만 미래에셋·한국투자·신한금융투자·하나금융투자·교보·신영·삼성·KB투자·현대·대우증권이 출시했다. 신한금융투자증권이 지난달 20~22일 청약을 진행한 ‘신한투자(ELS) 1만2031호’에는 33억원이나 쏠렸다. 이 증권사 관계자는 “개별 ELS 상품 판매액이 보통 10억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3배나 많이 팔렸다”고 말했다.
노녹인형은 원금 손실 진입 구간이 없고 만기 시 상환조건만 충족하면 약정된 수익을 얻을 수 있어 녹인형보다 위험도가 낮다. 기초자산으로 활용하는 H지수와 유로스톡스50,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코스피200, 닛케이225 등 주요 증시가 최근 많이 떨어진 상황이라 상환조건 충족(발행 당시 지수의 50~60% 수준)도 수월해졌다. 대부분 상품이 연 6~8%의 수익률을 내걸어 투자자 입장에서는 솔깃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원금 손실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예를 들어 H지수 기초 지수가 8000일 때 상환조건 60%인 노녹인 상품에 가입했다면 상환 시점에서 지수가 4800 이하로 내려갈 경우 원금 손실이 발생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2008년 금융위기 때 코스피가 1800대에서 1500~1600으로 떨어지자 많은 사람이 추가 하락은 없을 것으로 봤지만 1000선 아래로 곤두박질쳤다”며 “중국발 리스크가 굉장히 높은 상황에서 각종 글로벌 지수의 추가 하락이 없을 것이라고 단정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원금 손실 위험이 있는 상품에 투자할 때는 최악의 경우를 가정해 분산 투자하고 금융사는 위험도를 축소하거나 숨기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