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주택거래량 6만2천365건…작년보다 21.4%↓“기저효과와 가계부채 대책 시행 전 관망세 탓”
지난달 주택매매거래량이 작년 같은 달의 8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먹구름 낀 부동산시장
글로벌 성장세가 동반 하락하고 세계 증시가 곤두박질 치는 등 글로벌 경기 침체가 계속되는 가운데 국내 부동산 시장도 덩달아 얼어붙는 분위기다.
지난 연말부터 꺾이기 시작한 부동산 경기는 이달부터 시행된 가계부채 관리방안과 공급과잉 등 악재가 겹치면서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봄 이사철을 기점으로 부동산 시장이 잠시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보면서도 상반기 내에 이전 수준의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14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지난 연말부터 꺾이기 시작한 부동산 경기는 이달부터 시행된 가계부채 관리방안과 공급과잉 등 악재가 겹치면서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봄 이사철을 기점으로 부동산 시장이 잠시 활기를 되찾을 것으로 보면서도 상반기 내에 이전 수준의 완전한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14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주택거래량이 작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감소한 이유는 작년 1월 주택거래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일 정도로 많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국토부는 분석했다.
국토부는 1월 주택거래량을 최근 5년(2011∼2015년) 평균 1월 주택거래량(5만2천791건)과 비교하면 오히려 18.1% 늘었다고 전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가계부채 종합대책 시행(수도권 2월 1일)에 앞서 주택시장에 집값이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면서 주택수요자들이 시장을 지켜보기만 하고 집을 사기 꺼렸다는 관측도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내외 거시경제에 대한 불안과 금리 인상 가능성,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주택시장에) 미칠 효과 등을 고려하면서 (수요자들이) 시장을 관망하고 작년과 같이 본격적인 주택매매에는 나서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주택거래량이 평년보다 크게 떨어졌다거나 주택시장이 위축됐다고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설명했다.
1월 주택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2만9천705건으로 작년보다 13.4%, 지방이 3만2천660건으로 27.5% 줄어 지방의 감소폭이 수도권보다 컸다.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거래량은 최근 5년 평균 1월 거래량(2만911건·3만1천881건)에 견주면 각각 42.1%, 2.4% 증가했다.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가 3만9천695건 거래되며 작년보다 30.9% 줄어든 반면 연립·다세대는 1만2천411건으로 2.1%, 단독·다가구는 1만259건으로 5.3% 늘었다.
전세난이 계속되면서 실수요자들이 아파트 전세금과 비슷한 가격으로 사들일 수 있는 다세대·다가구 등에 눈을 돌리는 추세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주택유형별 주택거래량도 최근 5년 평균과 비교하면 아파트는 5.3%(2천9건), 연립·다세대는 44.9%(3천843건), 단독·다가구는 56.9%(3천722건) 증가했다.
1월 전국 주요 아파트단지 실거래가는 강남권 재건축단지와 수도권 일반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강남 대치 은마 84.43㎡는 작년 12월 11억3천200만원에 거래됐으나 1월에는 10억6천500만원에 매매됐다.
강동 둔촌 주공4차 99.61㎡는 실거래가가 8억원에서 7억8천200만원으로, 송파 신천 파크리오 59.95㎡는 7억6천500만원에서 7억6천만원으로 내렸다.
군포 산본 세종 58.71㎡는 2억9천500만원에서 2억9천200만원으로 떨어졌고 수지 죽전 세터마을힐스테이트 85.00㎡는 4억500만원에서 4억원으로 하락했다.
주택거래량과 실거래가 관련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의 부동산통계시스템 홈페이지(www.r-one.co.kr)나 부동산시장정보 애플리케이션 또는 국토부 실거래가 홈페이지(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