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관련 비리 의혹 수사에 나서면서 지난 2013년 백지화된 이 사업에 다시금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3가의 51만5천483㎡ 규모의 부지에 사업비 31조원을 들여 업무·상업·주거시설 등을 조성하는 복합개발 프로젝트로 추진됐다.
당시 코레일 소유의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 이촌동 일대를 아우르는 방대한 사업 규모 때문에 ‘단군 이래 최대 개발 프로젝트’로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사업은 2007년 8월 서울시와 코레일이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 이촌동을 포함한 통합개발합의안을 발표하면서 2016년 말까지 초고층 건물 14개 동을 비롯한 건물 66개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됐다.
2007년 12월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개발사업자로 선정됐고 이듬해 서부 이촌동 주민을 대상으로 도시개발사업 동의서를 받았다.
그러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고 자금난이 이어지면서 코레일은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해 건설사들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을 요구했으나 삼성물산이 반발, 2010년 대표 주관사 지위를 내려놓고 사실상 사업에서 손을 뗐다.
코레일은 답보 상태에 빠진 사업을 회생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했지만 사업계획 변경 등을 둘러싼 민간 출자사들과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자금조달 문제로 지지부진하던 용산 개발사업은 2013년 3월 12일 자산관리위탁회사였던 용산역세권개발(AMC)이 만기를 맞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2천억원에 대한 선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고 결국 4월 이사회에서 사업청산을 결의했다.
2007년 8월 사업자를 공모하며 첫발을 내디뎠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6년 만에 무산됐고 사업중단 책임 및 보상을 둘러싼 소송전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서울시 용산구 한강로 3가의 51만5천483㎡ 규모의 부지에 사업비 31조원을 들여 업무·상업·주거시설 등을 조성하는 복합개발 프로젝트로 추진됐다.
당시 코레일 소유의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 이촌동 일대를 아우르는 방대한 사업 규모 때문에 ‘단군 이래 최대 개발 프로젝트’로 불리며 화제를 모았다.
사업은 2007년 8월 서울시와 코레일이 용산 철도정비창과 서부 이촌동을 포함한 통합개발합의안을 발표하면서 2016년 말까지 초고층 건물 14개 동을 비롯한 건물 66개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됐다.
2007년 12월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개발사업자로 선정됐고 이듬해 서부 이촌동 주민을 대상으로 도시개발사업 동의서를 받았다.
그러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고 자금난이 이어지면서 코레일은 추가 자금 조달을 위해 건설사들에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을 요구했으나 삼성물산이 반발, 2010년 대표 주관사 지위를 내려놓고 사실상 사업에서 손을 뗐다.
코레일은 답보 상태에 빠진 사업을 회생하기 위한 방안을 추진했지만 사업계획 변경 등을 둘러싼 민간 출자사들과의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자금조달 문제로 지지부진하던 용산 개발사업은 2013년 3월 12일 자산관리위탁회사였던 용산역세권개발(AMC)이 만기를 맞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2천억원에 대한 선이자 52억원을 내지 못해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고 결국 4월 이사회에서 사업청산을 결의했다.
2007년 8월 사업자를 공모하며 첫발을 내디뎠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첫 삽도 뜨지 못한 채 6년 만에 무산됐고 사업중단 책임 및 보상을 둘러싼 소송전은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