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한숨… 장바구니 물가 9.7% 올랐다

서민의 한숨… 장바구니 물가 9.7% 올랐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3-03 22:24
업데이트 2016-03-04 00: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비자물가 두달 만에 1%대로…신선식품 37개월 만에 최대 상승

전셋값·서비스 물가 줄줄이 올라

신선식품, 전셋값, 하수도 및 대중교통요금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물가지수가 두 달 만에 1%대 상승률을 회복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올랐다. 2014년 12월부터 11개월째 0%대를 이어오다 지난해 11월(1.0%)과 12월(1.3%) 1%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 1월 다시 0%대로 내려갔다가 지난달 1%대를 회복한 것이다.

물가 상승률은 겨우 1%대를 회복했지만, 서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는 물가는 크게 올랐다. 생선, 조개류, 배추, 상추, 사과, 배 등 대표적 장바구니 물가인 신선식품지수가 9.7% 올랐다. 2013년 1월(10.5%) 이후 3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신선식품은 서민들이 자주 사는 물품이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가중치(1000.0) 중 비중이 약 4%(40.7)에 그쳐 실제 물가상승률에는 크게 반영되지 못했다.

농축수산물은 5.6% 상승했다. 세부 품목별로는 양파가 118.6% 급등했고 파(83.8%), 배추(65.5%), 마늘(48.9%), 무(43.7%) 등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집세는 2.9% 올랐는데, 전세는 4.1%, 월세는 0.4% 상승했다. 그 결과 생활물가지수는 0.9%(전·월세 포함 1.2%) 올랐다. 2014년 7월(1.4%)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다.

서비스 물가도 2.4% 올라 2012년 1월(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았던 지난달과 같았다. 공공서비스 중 하수도요금(22.8%), 전철요금(15.2%), 시내버스요금(9.6%) 등의 상승폭이 컸고, 개인서비스에선 외식 소주값(11.4%), 학교 급식비(10.1%)가 많이 올랐다.

반면 공업제품(-0.2%), 전기·수도·가스 요금(-8.0%), 가스연결비(-14.8%), 국내 항공료(-5.0%) 등은 하락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농축수산물은 지난달 한파와 폭설로 공급이 줄고 설이 끼면서 수요는 늘고 조업 일수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며 “서비스는 전세, 시내버스요금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3-04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