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펀드 초반 판매 기대보다 저조

해외 펀드 초반 판매 기대보다 저조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6-03-03 21:20
업데이트 2016-03-03 2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 불안·환매 부담에 비과세 혜택 가려

출시 이틀간 가입액 194억 그쳐
일부 “신상품치고는 성적 양호”


대대적인 홍보와 함께 출시된 비과세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가 기대에 못 미치는 초반 성적을 보이고 있다. 세계 경제에 대한 우려와 환매 부담 등이 비과세 혜택에 대한 관심을 압도한 것으로 분석된다.

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출시된 비과세 해외 펀드는 출시 후 이틀간 194억 3000만원의 투자금을 모은 것으로 집계됐다. 업권별로는 증권사가 5058개 계좌, 107억 9000만원어치를 팔아 3526개 계좌, 85억 8000만원을 유치한 은행을 앞질렀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의 ‘글로벌배당인컴’ 펀드가 17억 6100여만원을 모으며 가장 많이 팔렸고 이스트스프링자산운용의 ‘차이나드래곤A주’, 한국투신운용의 ‘베트남그로스’가 뒤를 이었다.

해외주식투자 전용 펀드는 해외 상장 주식에 60% 이상을 투자하는 펀드로 매매·평가 차익과 환차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준다. 소득세법상 국내 거주자면 미성년자도 가입할 수 있어 ‘증여용’으로도 관심이 높다. 2017년 말까지만 판매되며 1인당 납입 한도는 3000만원이다.

해외주식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반드시 눈여겨봐야 할 상품으로 꼽히지만 시기가 좋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어두운 경제 전망과 지속되는 국제 유가 하락 등으로 연초 이후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한 흐름을 보이며 투자 심리가 움츠러든 탓이다.

기존 해외 펀드 가입자라면 새로 나온 비과세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유리하지만 환매 부담이 걸림돌이다. 특히 손실이 큰 일부 펀드 투자자의 경우 환매는 곧 손실 확정이라는 생각이 심리적 제약 요인이 된다.

아직 투자자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새 상품인 점을 감안하면 양호한 성적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최근 세제 혜택이 있던 금융 상품으로 2014년 3월 출시된 ‘소장펀드’(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첫날 1만 7372개 계좌에 16억 6000여만원어치가 판매됐다. 이번 비과세 해외 펀드는 소장펀드보다 개설 계좌 수는 적지만 판매 금액은 더 크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세계 증시가 안정되고 각국의 경기부양책이 추가 시행되면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6-03-04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