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만원 항공권 취소위약금이 22만원…소비자 ‘부글’

37만원 항공권 취소위약금이 22만원…소비자 ‘부글’

입력 2016-06-02 13:41
업데이트 2016-06-02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 저가 항공사 피해사례 가장 많아

서울 양천구에 사는 30대 남성 A씨는 작년 7월 인천-홍콩 왕복항공권을 36만8천600원에 구입했다.

A씨는 같은 해 10월 개인 사정으로 예약을 취소하려 했지만 항공사는 취소수수료 21만6천원을 공제한 후 환급이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이처럼 항공권 예약을 취소할때 위약금을 과다하게 요구하거나 환급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6개월(2015년 10월∼2016년 3월)동안 접수된 항공여객 관련 소비자피해를 분석한 결과 항공권 구매 취소 시 위약금 과다 요구·환급 거부가 227건(50.9%)으로 가장 많았다고 2일 밝혔다.

운송 불이행·지연(107건, 24.0%), 위탁수하물 분실·파손(28건, 6.3%), 정보제공 미흡에 따른 미탑승(16건, 3.6%)이 그 뒤를 이었다.

피해는 외국적 저비용항공사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446건 중 외국적 항공사 관련 피해가 259건(58.1%)으로 절반을 넘었고 특히 외국적 저비용 항공사 관련 피해건수는 137건(30.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아울러 저비용 항공사 관련 피해가 446건중 269건(60.3%)로 대형 항공사의 약 1.5배에 달했다.

소비자원은 “일부 외국적 저비용항공사는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통해서만 소비자 불만 접수·처리가 가능해 소비자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2012년부터 작년까지 항공사 관련 소비자 피해는 매년 30%씩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1분기에는 275건이 접수돼 작년 1분기(180건)보다 52.8% 늘어났다.

소비자원은 여행철을 앞두고 “항공권을 예약하기 전에 운임약관을 확인하고 일정을 여유롭게 잡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저비용항공은 예약 취소에 따른 환급이나 수하물 운임기준이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