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선 취직 나이들면 노후…한국인들 일생이 걱정”

“젊어선 취직 나이들면 노후…한국인들 일생이 걱정”

입력 2016-07-21 11:07
업데이트 2016-07-21 1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연구원 경제행복지수 조사…“노후준비 부족” 답변 점점 높아져

옛말에 걱정도 팔자라는 말이 있다. 하지 않아도 될 걱정을 비아냥거리는 말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걱정할 일이 너무 많아졌다. 20대는 취업, 30대는 주택, 40대는 자녀 양육, 50대 이후부터는 노후준비 때문에 늘 걱정을 달고 살아야 한다. 이제 걱정이 팔자가 된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정책조사실장은 21일 이런 결과를 알 수 있는 경제행복지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 남녀 1천12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14~23일 전화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오차범위는 ±3.08%포인트다.

응답자들은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장애물로 ‘노후준비 부족’(34.1%)을 꼽았다. 이어 자녀 양육 및 교육(19.3%), 주택문제(17.6%), 일자리부족(17.2%)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특히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답변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다.

현대경제연구원이 6개월 전 진행한 같은 조사에서 노후준비 부족이라고 응답한 답변은 이번보다 5.3%포인트 낮은 28.8%, 1년 반 전에는 9.3%포인트 낮은 24.8%에 불과했다.

김 실장은 “경제적 행복의 가장 큰 장애물이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응답이 해마다 많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고령 친화적 일자리의 지속적 창출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는 일자리 부족(35.3%), 30대는 주택문제(31.2%), 40대는 자녀 양육 및 교육(30.0%)을 경제적 행복의 최대 걸림돌로 봤다.

50대와 60대는 각각 50.6%와 66.9% 비율로 노후준비 부족을 경제적 행복의 최대 장애물로 꼽았다.

나이가 들수록 헐거운 사회안전망 탓에 노후준비 부족을 걱정했지만 기본소득 도입에는 반대(77%)한다는 의견이 찬성(20.6%)을 압도했다.

기본소득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구성원 모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지급하는 소득을 말한다.

적정한 기본소득 금액에 대해서는 월50만원이라는 응답이 39.6%로서 가장 많았다. 월100만원(32.9%), 월30만원(27.5%)이 뒤따랐다.

거시 경제와 관련해서 부진한 소비를 위축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 응답자들은 소득 감소(22.1%)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하반기 경기는 상반기보다 더 안 좋아질 것(56.2%)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회복의 최대 장애물로는 국내 소비 부진(54.0%)을 첫손에 꼽았다.

경기 회복을 위한 하반기 정부 중점 추진 과제로는 경기활성화 대책(47.4%), 구조개혁을 통한 경제체질 개선(26.2%), 주택가격 안정화(15.7%)를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