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10명 중 4명 공시생…대학생 거의 절반이 휴학 경험

취준생 10명 중 4명 공시생…대학생 거의 절반이 휴학 경험

입력 2016-07-21 13:18
업데이트 2016-07-21 14: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시생 비중 1년새 4.4%p↑…휴학경험자 비중 최대

취업준비생(취준생) 10명 중 4명은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공시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황으로 신규 취업시장이 얼어붙으면서 대학 휴학경험자가 큰 폭으로 늘어났고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의 시간과 첫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도 길어졌다.

경기불황으로 취업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안정적인 일자리에 대한 선호가 커지고 그만큼 취업 준비 시간도 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직장인들은 50세도 안 돼 가장 오래 일한 일자리를 그만두지만 이들 중 절반만 재취업에 성공해 현재 일자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1일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5월 청년층 및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취업준비 탓’ 휴학생 늘고, 대학졸업 기간도 길어지고

경기 불황으로 신규취업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취업·자격시험 준비를 위해 휴학을 하는 대학생들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15 ∼29세) 중 대학졸업자는 293만 2천명으로 1년전보다 9천명 증가했으며 여자는 176만6천명, 남자는 116만6천명이었다.

대졸자 중 휴학경험자의 비중은 지난 5월 기준 44.6%로 조사가 시작된 2007년 이후 가장 높았다.

휴학자 비중은 2007년 5월 36.3%를 기록한 뒤 점점 상승해 2011년 43%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40.3%까지 떨어졌다.

성별로 보면 여성 휴학자 비중이 같은 기간 17.2%에서 21.6%로 큰 폭으로 올라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남성 휴학자 비중은 1년 전보다 2.9%포인트 늘어난 79.3%를 기록했다.

휴학 사유는 여성의 경우 취업 및 자격시험 준비(61.6%), 어학연수 및 인턴 등 현장경험(31.4%) 등 취업과 관련된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성은 병역의무 이행이 96.8%를 차지했다.

대학졸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1년 전보다 1.1개월 늘어난 4년 2.6개월로 집계됐다. 대학졸업 기간은 2012년 이후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늘어나는 추세다.

청년층(15∼29세) 인구 중 재학 중 직장체험을 한 비율은 39.8%로 1년 전보다 1.8%p 하락했다.

최종학교 졸업자 중 취업자는 331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1만 3천명 늘어났다. 산업별 취업분포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40.7%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음식숙박업(26%), 제조업(18.7%)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 청년층 인구는 944만 9천명으로 1년전보다 5만명(0.5%) 줄어들었다.

이중 경제활동인구는 446만 9천명으로 같은 기간 10만명 늘었으며 비경제활동인구는 498만명으로 15만명 줄었다.

◇ 공시생 비중 상승세…여성 공시생 눈에 띄게 증가

청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생은 65만 2천명(13.1%)으로 1년전보다 0.8%포인트 상승했다.

취업준비생 중 일반직공무원 준비생은 39.3%로 같은 기간 4.4%포인트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5.5%포인트 증가한 36.1%, 남성은 3%포인트 증가한 42.2%를 기록했다.

청년층 가운데 직업교육(훈련)을 경험한 비율은 16.2%(153만명)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남자(13.8%)보다 여자(18.5%)가 직업교육을 경험한 비율이 높았다.

직업교육 경험 시기는 재학·휴학 중이 57.4%, 졸업·중퇴 이후는 34.4%다.

주로 사설학원(58.6%)에서 직업교육이 이뤄졌고 비영리법인·대학 등(12.5%)이나 직업능력개발훈련법인(11.3%)이 뒤를 이었다.

최종학교 졸업(중퇴)자 중 취업 유경험자 비율은 0.8%포인트 오른 87.0%였다.

이중 취업횟수가 한 번인 경우가 47.4%였다.

취업 유경험자의 취업 경로는 신문·잡지·인터넷 등 응모(30.1%)가 다수였고 공개채용시험(20.9%)이나 가족·친지 소개(19.9%)도 많았다.

특히 대졸 이상은 공개채용시험 비율이 29.3%였다.

취업 유경험자의 최근 일자리와 전공과의 관련성은 ‘매우 일치’가 27.2%, ‘매우 불일치’는 36.8%였다.

미취업자의 미취업 기간은 6개월 미만이 45.6%, 6개월∼3년은 37%, 3년 이상은 17.3%였다.

미취업자들은 주로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36.6%) 활동을 했고 ‘그냥 시간보냄’(17.8%)이나 ‘육아, 가사’(15.4%)의 비율도 높았다.

졸업(중퇴) 후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취업에 걸린 시간은 올해 평균 11.2개월로 작년보다 0.2개월 길어졌다.

청년 4명 중 1명(26.7%)은 첫 취업까지 1년 이상이 걸렸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평균 1년 6.7개월로 작년보다 0.3개월 늘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로는 보수와 근로시간 등 근로여건이 불만족스러웠다는 응답 비율이 48.6%나 됐다. 건강·육아·결혼 등 개인사유가 13.5%, 계약 만료는 10.7%였다.

임금근로자로 처음 취업한 청년층 58.0%는 계속해서 근무할 수 있는 정규직 일자리를 잡았으나 22.2%는 일할 수 있는 기간이 1년 이하인 계약직이었다. 일시적 일자리를 구한 청년은 12.5%였다.

◇ 고령층, 50세 이전 주 일자리 떠나 절반만 재취업

5월 기준 우리나라의 고령층(55∼79세) 인구는 1천239만7천명으로 지난해 5월 대비 4.8%(56만3천명) 증가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5.1%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고 고용률은 0.2%포인트 떨어진 53.7%였다. 고령층 고용률이 떨어진 것은 2008년 49.9%에서 2009년 48.9%로 하락한 이후 7년 만이다.

취업을 한 경험이 있는 55∼64세 고령층 중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 기간은 14년 11.1개월로 전년 동월 대비 1.7개월 증가했다.

근속기간대별로 보면 10∼20년이 29.3%로 가장 많았고, 5∼10년(19.3%), 20∼30년(19%), 5년 미만(17.7%), 30년 이상(14.7%) 등의 순이었다.

30년 이상 평생 고용에 성공한 이는 6∼7명 중 1명에 불과한 반면, 10명 중 4명 꼴인 37%는 주된 일자리에서 10년이 되기 전에 그만둔 셈이다.

주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연령은 만 49.1세에 불과했고, 이들 중 절반인 50.2%만 재취업에 성공해 현재 일자리를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이 30.6%로 가장 많았고,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19.8%, ‘가족을 돌보기 위해’ 13%,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 9.6% 등이었다.

고령층 인구 중 ‘지난 1년간 구직경험이 있음’의 비율은 15.7%로 0.3%p 하락했다. 주된 구직경로는 ‘친구, 친지 소개 및 부탁’이 10명 중 4명인 40.8%를 차지해 여전히 고령층 일자리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고령층은 전체의 44.1%(546만9천명)로 전년 동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연금 수령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55∼64세 인구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지난해 49만원에서 올해 51만원으로 2만원 증가했지만 여전히 전체의 49.5%는 10만∼25만원을 수령해 생계에 큰 보탬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0만원 이상 수령자 비율은 전체의 8.6%에 불과했다.

고령층 인구 중 61.2%(758만2천명)는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희망을 원하는 이유는 ‘생활비에 보탬’을 꼽은 이가 58%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은 34.9%였다.

이들은 평균 72세까지 일하기를 원했고, 월평균 희망 임금 수준은 150만∼300만원이 33.6%, 100만∼150만원이 32%로 전체의 60%가 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