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인삼 재배가능면적 2090년엔 국토의 5%뿐

온난화로 인삼 재배가능면적 2090년엔 국토의 5%뿐

입력 2016-07-25 11:03
업데이트 2016-07-25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약용작물 재배지 변동예측지도 나와…천궁·당귀도 급감

온난화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인삼을 재배할 수 있는 면적이 우리 국토의 84%에서 5%까지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농촌진흥청은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인삼·당귀·천궁 등 주요 약용작물의 ‘재배지 변동 예측 지도’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예측지도는 기상청이 만든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8.5)를 바탕으로, 현재의 품종과 재배양식 등 재배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가정하에 제작됐다.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우리나라의 기온은 약 1.5℃ 높아졌다. 이는 전 세계 평균 기온 상승폭인 0.7℃보다도 훨씬 높다.

또 온실가스 배출이 지속되면 2100년에는 국내 평균 기온은 5.7℃ 상승할 전망이다.

농진청에 따르면 인삼은 과거 30년(1981∼2010년) 총재배가능지가 전 국토 면적 기준 84.1%이었다.

총재배가능지는 실제 재배지가 아닌, 기후 조건을 기준으로 인삼 재배가 가능한 면적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총재배가능지는 2020년대 75.8%로 줄기 시작해 10년마다 급감, 2090년에는 재배할 수 있는 지역이 강원도와 내륙의 산간지 일부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 국토 면적 기준으로 5.1%에 그치는 수준이다.

현재 국내 인삼 재배 면적이 1만7천㏊ 정도인데, 온난화가 계속되면 경우 실제 재배 면적도 급감할 전망이다.

고혈압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약용작물인 천궁 역시 고온에 취약해 총재배가능지가 전 국토의 71.2%에서 2090년대 1.4%로 급감하고, 당귀는 같은 기간 56.6%에서 0.72%로 예측됐다.

농진청은 고온에도 잘 견딜 수 있는 품종을 육성하는 한편, 고온 대응 재배기술 개발, 재배에 유리한 지역으로 작목 배치 유도 등의 기후변화 대응 대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연구 결과를 향후 약용작물의 수급조절 정책 수립 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기관에 제공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