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헬로비전 M&A 불가로 ‘마침표’…정부 심의 종결

SKT-헬로비전 M&A 불가로 ‘마침표’…정부 심의 종결

입력 2016-07-28 10:17
업데이트 2016-07-28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당 기업들 “할 말 없다”…미래부, 필요한 방송통신 정책 논의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인수합병(M&A) 심사가 결국 ‘M&A 불가’로 공식 종결됐다.

심사 주무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는 28일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결합 금지 결정으로 M&A 인허가 심사를 계속 진행할 실익이 없어졌고 당사자인 SK텔레콤이 인허가 신청을 취하함에 따라 심사 절차를 종료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방송·통신 분야의 이례적 ‘빅딜’로 꼽혔던 이번 M&A 계획은 이에 따라 완전히 무산됐다.

앞서 SK텔레콤은 25일 CJ헬로비전에 M&A 계약 해제를 통보하고 이어 27일 미래부에 M&A 인허가 신청을 취하해달라는 요청서를 제출했다.

미래부는 “관련 업계 의견수렴 등을 통해 이번 M&A 무산과 연계해 방송통신 산업에 필요한 정책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의 M&A는 공정위·미래부·방송통신위원회 등 3개 부처의 승인을 모두 받아야 한다. 이중 공정위에서 불허 결정이 난 만큼 미래부·방통위의 심사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합법적 M&A는 할 수가 없었던 상황이었다.

이번 M&A는 이동통신과 케이블TV에서 각각 1위인 기업들의 만남으로 애초 큰 관심을 끌었으나 공정위는 이들의 결합이 시장 경쟁을 너무 저해한다면서 방송·통신 M&A 심사 사상 최초로 합병 불가 결정을 내놨다.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을 흡수해 유무선 인터넷·방송·모바일 비디오 등을 아우르는 ‘초대형 플랫폼’(종합 서비스)으로 재도약한다는 계획이 이번 M&A 무산으로 물거품이 되었다.

CJ헬로비전은 심사가 길어지면서 영업 위축과 구성원 동요 등의 피해가 크다고 호소하는 상황이다.

공정위 결정이 나오자 ‘반(反)시장적 발상’이라고 격하게 반발했던 두 기업은 심사 종결과 관련해서는 말을 극도로 아꼈다.

SK텔레콤은 이날 “별도로 내놓을 입장이 없다”고 전했다. CJ헬로비전도 “회사 경영 정상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상황이라 더 할 말이 없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현재 M&A 계약의 성실 의무 이행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고 있다. SK텔레콤이 M&A 인허가를 위해 충실히 노력하지 않았고 계약 청산을 일방적으로 서둘렀다는 것이 CJ헬로비전의 주장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