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전실 해체’ 삼성 후속인사 지연 뒤숭숭… 사내방송도 막방

‘미전실 해체’ 삼성 후속인사 지연 뒤숭숭… 사내방송도 막방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7-03-02 21:04
업데이트 2017-03-02 2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일 사무실 폐쇄 ‘역사 속으로’…당분간 사회공헌활동 위축될 듯

삼성그룹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 선언 뒤 사흘이 지난 2일에도 미전실 임직원 250여명에 대한 후속 인사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다. 미전실뿐 아니라 삼성 계열사 전부가 뒤숭숭한 분위기다.

미전실 직원 일부는 사무실로 쓰던 서울 서초사옥 38층과 40~41층에 출근해 남은 업무를 처리하거나 짐을 정리했다. 미전실 사무실 집기는 이번 주 중 철거될 예정이다. 5일 사무실이 폐쇄되면 58년 동안 이어져 온 미전실은 물리적으로 사라진다.

미전실이 주도하던 그룹 차원 사내 소통활동도 중단됐다. 삼성그룹 사내방송(SBC)은 이날 오전 마지막 방송을 했다. 삼성 사내방송은 1989년 도입돼 일주일에 두 번 오전 8시부터 10~15분간 방송됐지만, 앞으로는 계열사별 방송으로 대체될 전망이다. 삼성의 그룹 소식과 화젯거리를 메일로 보내던 ‘삼성뉴스레터’ 서비스도 이날 종료됐다. 삼성그룹 명의로 유지하던 홈페이지, 블로그 등도 조만간 폐쇄될 예정이다. 서초사옥에 있던 그룹 기자실도 3일 폐쇄된다.

최지성 미전실장과 장충기 미전실 차장을 비롯해 미전실 내 7개 팀의 팀장이 한꺼번에 사임함에 따라 삼성 내 엘리트 그룹인 미전실 직원들은 공중에 붕 뜬 처지가 됐다. 미전실 직원들이 원소속지로 돌아간다는 방침은 정해졌지만, 정식 발령은 늦어지고 있다. 미전실 직원들의 복귀를 상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 1일자로 직원 인사를 단행한 계열사들도 난감해하고 있다. 한 계열사 직원은 “오히려 중요한 경영적 판단은 ‘계열사 자율경영’이라는 새로운 기조에 맞춰 수행할 수 있겠는데, 사내방송같이 통상적·관행적으로 그룹과 함께 진행하던 소소한 업무들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매뉴얼이나 기준이 정해지지 않아 혼란스럽다”고 전했다.

미전실 해체 여파로 삼성사회봉사단,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삼성장학회 등을 통해 삼성이 그룹 차원에서 주도해 온 사회공헌 활동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그룹 단위로 진행되던 상반기 공채 역시 시행 여부가 여전히 불투명하다.

계열사에 대한 주목도는 어느 때보다 커졌다. 특히 계열사 이사회의 권한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보는 전망이 많다. 사외이사의 권한 강화, 이사회 산하 최고경영자(CEO) 추천위원회 설치 등 제도적인 개선이 이뤄질 때 삼성의 자율경영 의지에 대한 여론의 지지가 뒤따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7-03-03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