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가격 꺾이니 교통·유류 ‘껑충’…5년만에 상승폭 최대

농산물가격 꺾이니 교통·유류 ‘껑충’…5년만에 상승폭 최대

입력 2017-03-03 08:46
업데이트 2017-03-03 1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월 소비자물가 1.9%↑…신선식품 6개월 만에 두 자릿수 상승률 꺾여

유가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 가깝게 올랐다.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계란값 상승 폭 둔화 등으로 한자리대로 꺾였지만, 석유류·교통 등은 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9% 상승했다.

지난해 8월만 해도 0.5%에 그쳤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12월 1%대로 올라서더니 해가 바뀐 올 1월에는 2.0%로 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달에도 1월과 비슷한 흐름이 이어졌다.

그간 물가 상승을 이끌어온 농산물가격 상승세는 한풀 꺾인 대신 유가가 반등하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석유류는 13.3% 뛰어 전체 물가를 0.54%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 물가는 2011년 11월(1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석유류 가격 상승 영향으로 공업제품은 2.4% 올라 2012년 9월(3.3%) 이후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연료·열차·시내버스 요금을 아우르는 교통(6.0%) 물가도 2011년 12월(6.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어오르며 전체 물가를 0.64%포인트나 끌어올렸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3% 상승했지만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로 가격이 크게 올랐던 계란값이 안정세를 찾으면서 전달(8.5%)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계란값은 전월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전년 동월대비 상승폭은 61.9%에서 50.6%로 축소됐다.

배추, 무 등도 출하량이 늘거나 정부비축분이 풀리면서 상승세가 둔화됐다.

구제역 발생에 따른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소고기 가격은 국내 사육두수 감소 등 영향으로 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지난 1월 4.3% 하락했던 닭고기 가격은 AI 사태 안정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5.6% 반등했다. 구제역 여파로 소·돼지고기 수요가 닭고기로 옮겨간 점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집세를 포함한 서비스물가는 2.1% 상승해 전체 물가를 1.17%포인트 끌어올렸다.

반면 전기·수도·가스는 누진제 개편에 따른 전기세 하락 효과가 계속되면서 8.3% 하락해 전체 물가를 0.35%포인트 끌어내렸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5% 상승했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7% 올랐다.

식품 등을 포함한 생활물가지수는 2.3% 상승했다.

생활물가 중 식품은 채소류 가격 안정세로 상승 폭이 전달(4.4%)보다 줄어든 3.2%에 그쳤다. 식품 이외는 석유류 상승 영향으로 1.4%에서 1.9%로 상승했다.

소비자들이 자주 사 먹는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 물가는 1년 전보다 4.8% 상승했다.

신선식품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6.6% 오른 이후 올해 1월까지 내리 두 자릿수 증가율을 이어오다가 6개월 만에 한자리로 떨어졌다.

특히 신선식품 중 신선채소는 상승 폭이 17.8%에서 0.8%로 대폭 축소되면서 전체 상승 폭 둔화를 견인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에선 당근이 1년 전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인 103.8% 뛰었고 귤도 63.3% 올랐다.

달걀(50.6%), 양배추(87.1%), 오징어(41.3%), 배추(29.6%) 등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유가 상승 여파로 휘발유(12.4%), 경유(18.5%), 등유(12.3%) 등 석유류 가격도 뛰었다.

전세는 3.0% 올랐다.

하수도요금(12.8%), 보험서비스요금(19.4%)의 상승률도 높았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농산물에 대한 출하량이 늘고 정부 비축물량이 풀리면서 신선식품 물가 상승률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국제 유가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관계자는 “국제유가 변동, 구제역 안정 여부 등에 따른 상하방 변동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라며 “주요품목의 가격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급·가격 안정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