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늘고 덜 걷고”…국민 신체활동 감소·에너지 과잉 섭취

“외식 늘고 덜 걷고”…국민 신체활동 감소·에너지 과잉 섭취

입력 2017-06-15 12:48
업데이트 2017-06-15 1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 올바른 영양정보 제공·환경개선에 초점

보건복지부가 15일 내놓은 제2차 국민영양관리기본계획은 인구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나왔다.

실제 국민건강통계를 보면 소득이 늘고 주거여건이 개선되고 있지만 국민의 식생활 습관은 오히려 악화하고 건강관리도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 식사를 거르는 비율은 2005년 19.9%에서 2015년 26.1%로 증가했다.

반면 외식 비율은 같은 기간 24.2%에서 33.1%로 늘었고, 가구당 월평균 가공식품 구매비율은 23.7%에서 38%로 증가했다.

나트륨은 섭취량은 276%에서 204.2%로 줄긴 했지만, 여전히 적정 섭취량보다 두 배 이상 많이 섭취하고 있고, 칼슘 섭취가 부족한 사람은 63.3%에서 70.2%로 늘었다.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도 2007년 33.1g에서 2013년 44.7g으로,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비율은 2007년 3.7%에서 2015년 10.3%로 늘었다.

반면에 걷기 실천율은 2005년 60.7%에서 41.2%로 줄었다.

과일과 채소를 하루 500g 이상 섭취하는 비율은 38.5%에 머물러 있지만, 음료수 섭취는 하루 62g에서 192g으로, 주류 섭취는 하루 81g에서 123g으로 늘었다.

이런 가운데 30세 이상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8%에서 17.9%로 급증했다. 비만의 사회적 비용은 연간 약 6조8천억원(2013년)으로 추산됐으며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국민 식생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번 제2차 기본계획에서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건강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앞서 제1차 기본계획에서는 임신부와 영유아, 어린이, 노인 등 생애주기별 영양관리를 지원하고 형평성을 높이는 사업가 중점 추진됐다. 이 과정에서 영양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개인의 영양관리 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복지부는 “영양관리의 패러다임은 1960년대 이후 ‘구호’, ‘개선’, ‘관리’로 변화해 왔다”며 “이제는 개인이 적극적으로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하고 영양을 관리하는 ‘능동적 영양관리’를 할 수 있도록 정부가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