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수박 1년새 21.4% 껑충… 쓰디쓴 과일값

귤·수박 1년새 21.4% 껑충… 쓰디쓴 과일값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7-04 22:18
업데이트 2017-07-04 22: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월 소비자물가 1.9% 상승…채소·생선 등 신선식품 주도, 유가 하락에 상승세는 둔화

채소, 과일 등 신선식품 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다만 석유류 가격의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다소 둔화됐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4일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특히 과일, 채소, 생선, 조개류 등 신선식품지수가 10.5% 상승해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신선식품 중에서도 귤(106.2%) 등 신선과실 가격이 1년 전보다 21.4% 급등했다. 2011년 3월(23.3%) 이후 6년 3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귤 값은 지난해 이맘때의 2배다. 수박(27.2%) 값도 많이 올랐다.

통계청은 1년 전 신선식품 가격이 평년보다 낮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올해 물가 상승폭이 커 보이는 기저효과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7.6% 올라 전체 물가를 0.59% 포인트 끌어올렸다.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 때문에 달걀 가격이 69.3% 올랐고 오징어 값도 62.6% 상승했다.

지난 5월 8.9% 상승했던 석유류 가격은 지난달에는 2.8% 오르는 데 그쳤다. 기획재정부는 미국의 원유 생산이 증가하면서 국제 유가가 내린 까닭에 휘발유 등의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그 와중에도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와 도시가스 가격은 각각 10.6%, 10.1%씩 올랐다. 전체 물가 상승률은 전월(2.0%)보다는 떨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지난해 여름 전기요금을 인하한 영향으로 올여름 소비자물가는 상대적으로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면서 “가격 강세가 지속되는 생활밀접품목에 대한 추가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7-05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