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韓신용등급 ‘Aa2·전망 안정적’유지…성장률 2.8%↑

무디스, 韓신용등급 ‘Aa2·전망 안정적’유지…성장률 2.8%↑

입력 2017-07-05 16:55
업데이트 2017-07-05 17: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정부 출범 후 국제신용평가기관 첫 평가의견…올 성장률 2.5%서 상향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가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그대로 유지했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은 2.8%로 0.3%포인트 높였다.

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무디스는 이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 대한 평가의견을 통해 현행등급인 Aa2, 전망은 안정적으로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무디스는 1분기 한국이 예상을 깨고 1.1% 깜짝 성장한 점을 고려해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2.5%에서 2.8%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무디스는 지난달까지도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2.5%로 밝힌 바 있다.

이번 발표는 새 정부가 출범한 이후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에서 나온 첫 번째 공식 평가의견이다.

‘Aa2’는 무디스에서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또 다른 국제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와 피치사의 ‘AA’ 등급과 같다.

무디스는 2015년 12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3’에서 사상 최고인 ‘Aa2’로 상향 조정하고서 1년 7개월째 현 등급을 유지했다.

무디스는 “한국의 현행등급은 높은 수준의 경제 회복력, 재정규율과 적정 수준의 정부 부채, 제도적 강점, 낮은 대외위험성에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무디스는 한국에 대해 “향후 5년간 2∼3%의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정책수립 및 효과적 집행 능력 등이 큰 강점이고 안정적인 재정정책 운영, 견조한 성장 전망에 힘입어 정부재정 전망도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북한 관련 군사적 충돌 위험성이 있고 북한 정권이 붕괴할 때 재정 부담이 클 수 있다는 점,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리스크 민감성 항목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무디스는 구조개혁 가속화, 비금융공공기관 기능효율화와 부채 감축,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가 수반되면 앞으로 국가신용등급이 오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구조개혁이 후퇴하거나 장기 성장 전망이 악화할 경우, 정부재정이 나빠지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고조되면 등급이 떨어질 수 있다고 봤다.

무디스는 새 정부 출범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줄어 한국이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정책 수립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고 평했다.

아울러 “6월 국회에 제출된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통과하면 정부 지출을 늘어나겠지만 정부가 세제 개편 등으로 원활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