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개 쭉쭉 ‘소비심리’… 3개월째 뚝뚝 ‘산업생산’

기지개 쭉쭉 ‘소비심리’… 3개월째 뚝뚝 ‘산업생산’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7-07-28 22:30
업데이트 2017-07-31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6월 산업활동 동향’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옷과 화장품 등의 판매량이 늘었다. 올 들어 활황세를 이어 가던 반도체 생산이 재고 조정에 들어간 영향으로 전체 산업생산이 3개월째 감소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6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소비를 의미하는 소매판매가 전달보다 1.1% 증가했다. 지난 2월(3.2%) 이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의복 등 준내구재(2.4%)와 화장품 등 비내구재(1.7%)가 증가세를 이끌었다. 가전제품과 같은 내구재는 전달보다 0.9% 판매가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2분기(4~6월) 소매판매가 1분기보다 1.2% 증가하는 등 소비심리 개선으로 소비가 점차 회복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전체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0.1% 감소했다. 지난 4월(-1.0%) 이후 석 달 연속 감소세다.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2013년 5~7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반도체, 석유정제 등 광공업생산이 전달보다 2.3% 줄어든 영향이 컸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반도체 감소는 생산 부진이 아니라 재고 조정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반도체 가격이 오르는 ‘슈퍼 사이클’ 흐름이 유지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자동차 등 운송장비 투자가 늘어 5.3% 증가했고 토목 공사 실적이 감소한 탓에 건설 시공액은 전달보다 2.4% 감소했다. 어 과장은 “지출과 생산이 엇갈리면서 전체적으로 위축된 양상이었지만 경기 개선 흐름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재부 관계자는 “수출 증가세와 소비심리 개선, 추가경정예산 등에 힘입어 하반기에도 경기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통상 현안과 미국의 금리 인상, 가계부채와 부동산 문제 등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7-29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