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권 양도세’ 강화에 서울 강남 분양권 거래 93% 하락

‘분양권 양도세’ 강화에 서울 강남 분양권 거래 93% 하락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2-05 10:50
업데이트 2018-02-05 1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양권 양도세 강화로 올해 1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이 44%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강남구는 무려 93%나 분양권 거래가 줄었다.
이미지 확대
분양권 양도세 강화에 분양권 거래 뚝
분양권 양도세 강화에 분양권 거래 뚝 지난해 9월 5일 발표된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후속 조치에 따라 투기과열지구로 추가 지정된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서 한 시민이 부동산 중개업소들이 밀집해 있는 상가 앞을 지나고 있다.
연합뉴스
5일 양지영 R&C 연구소가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를 분석한 결과 1월 서울 아파트 분양권 거래량은 총 402건이었다. 이는 지난해 12월 718건보다 44%가 줄어든 수치다.

이런 분양권 거래량 급감은 올 1월부터 청약조정대상지역의 분양권 양도소득세율이 일괄해서 50%로 높아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지난해까지는 분양권 보유 기간이 ‘1년 이상~2년 미만’이면 40%, ‘2년 이상’이면 6~40%의 세금만 내면 됐다.

하지만 올해 1월부터는 양도소득세 부담이 커진 데다, 강남권 집값 급등으로 분양권 소유자들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란 기대감에 매물을 내놓지 않으면서 분양권 거래량이 ‘반토막’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강남권을 중심으로 분양권 거래량이 크게 줄었다.

강남구는 지난해 12월 거래량이 42건이었으나, 올해 1월에는 단 3건만 거래돼 지난달보다 무려 93%가 축소됐다.

서초구도 작년 12월 51건에서 올해 1월에는 6건으로 거래량이 88% 줄었고, 송파구 역시 같은 기간 100건에서 30건으로 70%가 감소했다.

이처럼 분양권 거래는 급감했으나 ‘웃돈(프리미엄)’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블레스티지’ 전용면적 59㎡ 분양권은 지난해 12월 최고 13억 900만원에 실거래가가 신고됐지만, 지금은 18억원대에 매물이 나와 있다. 한 달 사이 무려 5억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송파구 가락동 ‘송파헬리오시티’도 마찬가지다. 이 단지 전용면적 84㎡는 지난해 12월 평균 12억원가량에 거래됐지만, 지금은 14억 5000만원에 분양권 매물이 나와 있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 래미안 아이파크’ 전용 84㎡는 이달 19억 9385만원에 거래됐다. 이 아파트는 분양 당시 평균 분양가가 3.3㎡당 4258만원으로 일반아파트 기준 역대 최고 분양가였음에도 분양가보다 4억 5000만원 이상 오른 것이다.

양지영 R&C 연구소장은 “정부의 각종 재건축 규제 등에 따른 공급 물량 부족에다 양도세 부담에 따른 분양권 매물 품귀현상으로 ‘프리미엄’이 더 올라가는 분위기”라며 “수요 억제책이 아니라 강남 집값 상승의 근본적인 원인인 공급부족 해결 방안부터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