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에 투자하는 이유…평균 2억원에 사서 3억원에 팔았다

건물에 투자하는 이유…평균 2억원에 사서 3억원에 팔았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07 10:43
업데이트 2018-02-07 1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투자액 대비 양도차익 비율 50% 육박…2년 새 6%p 상승

최근 수년 사이에 자산가들이 건물을 팔아 얻는 양도차익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7일 파악됐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과 국세청 국세통계연보에 공개된 양도소득세 예정신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건물 매각 건당 평균 양도차익은 거래 시점 기준 2013년에는 6천584만원이었는데 2016년에는 9천966만원으로 3년 사이에 51.4% 증가했다.

2013년에 매각된 건물의 경우 건당 평균 취득가액은 1억4천480만원이고 건당 평균 양도가액은 2억1천687만원이었다.

필요 경비를 제외한 양도차익은 평균 6천584만원이었다.

2016년에 팔린 건물은 건당 평균 취득가액이 2억130만원으로 2013년에 매각한 건물보다 높았지만, 건당 평균 양도가격은 3억764만원으로 더 많이 상승했고 그 결과 필요 경비를 제외한 양도차익도 늘었다.

평균 양도차익은 건물 취득 시점과 매각 시점의 시세 차이가 시간이 갈수록 커진 결과로 보인다.

양도소득세 예정신고 기준으로 2016년에는 34만9천751건의 거래가 이뤄졌고 이에 따른 전체 양도차익 규모는 34조8천555억7천300만원이었다.

국세통계는 기본적으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거래를 집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1가구 1주택 거래를 비롯한 비과세 거래나 과세 미달 거래, 미신고 거래 등 통계에 반영되지 않은 거래까지 고려하면 건물을 사고팔아 얻은 실제 수익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 거래를 투자 관점에서 분석해도 최근 들어 수익률도 좋아졌다.

건물 거래 건당 취득가격 대비 양도차익의 비율이 2014년에 매각된 건물의 경우 43.5%였는데 2016년에 팔린 건물은 49.5%를 기록해 2년 만에 6% 포인트 높아졌다.

건물을 보유한 기간과 활용 방식에 따라 개별 수익률에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건물 투자로 수익을 낼 확률이 최근에 더 커진 셈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