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ㆍ사진ㆍ나이ㆍ키 ‘묻지마 이력서’…직무 관련성 꼼꼼히 챙기는 공기업

학력ㆍ사진ㆍ나이ㆍ키 ‘묻지마 이력서’…직무 관련성 꼼꼼히 챙기는 공기업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8-02-08 01:08
업데이트 2018-02-08 0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수 블라이드 채용 12곳 선정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나이·출신지역·학력은 물론 사진과 키·몸무게 등 신체 조건을 적는 항목을 입사 지원서에서 없앴다. 반면 직무상황에 기반한 역할연기 방식의 면접을 도입했다. 채용 방식이 바뀐 이후 폭발물 처리요원 선발시험에 응시한 이모씨는 고졸 학력에 관련 공부 등 스펙은 없었지만, 군 시절 대테러임무 수행, 공항 협력업체 근무 경험 등 폭발물 처리 관련 직무능력을 인정받아 최종 합격했다.
이미지 확대
스펙보다는 직무능력을 보는 이른바 블라인드 채용이 공공기관에 도입된 뒤 서류전형부터 필기, 면접까지 채용 과정이 변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채용 문화 변화를 이끌고 있는 우수 블라인드 채용 공공기관·지방공기업 12곳을 7일 선정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입사지원서나 면접에서 출신지·가족관계·신체조건·학력 등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사항은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블라인드 채용을 모든 공공기관에서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선정된 기관은 인천국제공항공사를 비롯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동서발전, 국민건강보험공단, 예금보험공사,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 한국남동발전, 한국전력거래소,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서대문구 도시관리공단, 전남개발공사 등 모두 12곳이다. 이들은 입사지원서에 나이·출신지역·학력 등을 적는 란을 모두 없앴다. 다른 채용과정에서도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했다.

한국전력거래소는 응시자에 대해 서류상 판단을 하지 않기 위해 최종 합격자에게만 어학성적 등 증빙서류를 제출토록 했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면접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면접 당일 면접위원을 추첨 배정하는 등 공정성을 보완하고, 경쟁률와 필기·면접 점수와 합격선을 공개해 투명성을 높인 공공기관(한국남동발전)도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블라인드 채용 초기 혼란스러워하는 응시자들을 위해 입사지원서 작성가이드를 제공하기도 했다. 서대문구 도시관리공단은 직무능력중심 채용을 강화하기 위해 필기 전형에 채용분야직군 관련 과목을 추가하기도 했다.

공공기관의 블라인드 채용 확산으로 인해 구직 청년들도 학점보다는 직무 관련 자격증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구직 경험자 70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뜨는 스펙, 지는 스펙’ 설문조사에 따르면 최근 뜨는 스펙으로는 ‘자격증 준비’(17.2%)가 가장 많이 꼽힌 반면 ‘학점 높이기’(8.5%), ‘봉사활동’(8.1%), ‘복수전공(부전공) 준비’(7.1%) 등은 지는 스펙으로 꼽혔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8-02-08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