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유소년… 늙는 한국, 총인구 2032년부터 꺾인다

노인>유소년… 늙는 한국, 총인구 2032년부터 꺾인다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3-22 23:34
업데이트 2018-03-23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2017 한국 사회지표’

작년 5144만명·증가율 0.39%
생산인구 15~64세 감소 시작
출산율 최저… 고령화 가속
미혼여성 절반 이상 ‘비혼족’

지난해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가 처음으로 유소년 인구보다 많아졌다. 지난해부터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저출산 기조가 지속될 경우 2032년을 기점으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가 감소하고 2050년에는 5000만명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고령인구(65세 이상)가 13.8%로 유소년(0~14세)을 0.7% 포인트 추월했다. 주요 출산 연령대에서 결혼과 출산이 감소하고 의료기술 발달로 평균수명은 늘어났다.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지난해 13.8%에서 2030년 24.5%, 2040년 32.8%, 2060년에는 41.0%까지 늘어난다.

통계청 관계자는 “인구성장률은 2032년 0%를 기록한 뒤 2040년 -0.32%, 2060년 -0.97% 등으로 인구감소에 가속도가 붙는다”면서 “총인구는 2040년 5219만명에서 2050년에는 4943만명으로, 다시 2060년에는 4524만명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5144만 6000명, 인구성장률은 0.39%를 기록했다. 또한 우리나라 중위연령은 이미 2014년(40.3세) 40세를 넘어섰고, 2017년에는 42.0세를 기록했다. 2033년(50.3세)에는 50세를 넘어선다.

계층 상승 희망도 점차 사라지고 있다. 자식 세대의 계층 이동 상승성에 대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54.5%로 2년 전보다 3.9% 포인트 올랐다. 자식 세대의 계층 상승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비율은 2013년 43.7%에 불과했지만 4년 만에 10% 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특히 스스로 상층이라고 답한 경우 61.1%가 본인 세대 계층 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반면 하층이라고 답한 경우에는 13.9%만 계층 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저출산 현상은 멈출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첫 자녀를 출산한 여성의 평균 연령은 31.4세로 전년 대비 0.2세 상승했다. 또한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 출산 연령대인 30대 초반의 출산율은 -12.4명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비율은 51.9%로 점점 감소하는 추세다. 미혼 여성 중에서는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이 59.5%에 달했다.

이 밖에 질병이나 사고로 병치레를 하는 유병 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은 64.9세로 조사됐다. 남자가 64.7세, 여자가 65.2세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3-23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