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소득 3만弗 시대 오는데…국민 지갑은 ‘홀쭉’

국민 소득 3만弗 시대 오는데…국민 지갑은 ‘홀쭉’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3-28 22:36
업데이트 2018-03-28 23: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7.5% 늘어 2만 9745弗 올해 0.9% 증가 땐 ‘선진국 진입’ 노동소득 분배율은 0.3%P 감소 경제규모 커졌지만 가계몫 줄어 총저축률 36% 19년 만에 최고

지난해 국민 소득 3만 달러 시대를 여는 데 불과 255달러가 부족했다. 3.0% 경제성장이 예상되는 올해에는 돌파가 확실시된다. 국민들에게는 ‘빛 좋은 개살구’에 가깝다.
정부와 기업의 곳간은 두둑해진 반면 국민들의 지갑은 상대적으로 홀쭉해졌기 때문이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국민계정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 9745달러로 2016년 2만 7681달러에서 7.5% 늘어났다. 증가율은 2011년 9.6% 이후 6년 만에 최고다. 다만 2006년 2만 달러를 넘어선 뒤 12년째 3만 달러 벽을 넘지 못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값으로,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의 기준선으로 간주된다.

올해에는 지난해보다 0.9%만 늘어도 이 기준선을 통과할 수 있다. 전망도 어둡지 않다. 수출 증가세를 바탕으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1%를 기록한 한국 경제는 올해도 3.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1인당 GNI가 3만 달러를 넘는 국가는 2016년 기준 25개국이 전부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올해 3만 달러를 넘어서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명목GDP)은 전년보다 5.4% 증가한 1730조 4000억원이다. 증가율은 2010년 9.9% 이후 가장 높았다.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 즉 가계의 주머니 사정을 보여 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 6573달러로 1년 전보다 6.8% 늘어났다.

하지만 경제 주체들을 서로 떼놓고 보면 희비가 엇갈린다. 우선 지난해 노동소득 분배율은 63.0%로 1년 전보다 0.3% 포인트 감소했다. 노동소득분배율 감소는 2010년 이후 처음이다. 경제 규모 자체는 커졌지만 가계에 돌아가는 몫은 줄었다는 의미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도 2016년 4.9%에서 지난해 5.1%로 늘어났다. 기업의 영업잉여 증가율은 4.9%에서 6.7%로 상승했지만 피용자(종업원) 보수 증가율은 5.2%에서 4.4%로 떨어졌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정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23.1%에서 23.8%로 확대됐지만 가계 비중은 56.3%에서 56.0%로 축소됐다. 경제 성장의 과실이 가계로 제대로 배분되지 못하는 모양새다.

또 지난해 총저축률은 36.3%로 1998년 38.0% 이후 19년 만에 가장 높았다. 정부의 총저축률은 8.4%로 전년(7.9%)보다 0.5% 포인트 상승했다. 세입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 반면 가계는 같은 기간 8.0%에서 7.9%로 감소했다. 정 국장은 “2003년 이후 저축률이 꾸준히 올라가는 것은 소비가 소득 증가율에 못 미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3-29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