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금감원장 내정 소식에 전 금융권 “나 떨고 있니”

김기식 금감원장 내정 소식에 전 금융권 “나 떨고 있니”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30 11:10
업데이트 2018-03-30 1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쇄신 드라이브, 강한 규제 우려…금융산업 입장도 고려해야”

김기식 전 의원이 30일 금융감독원장으로 내정됐다는 소식에 전 금융권은 ‘저승사자’가 왔다는 반응이다.

김 내정자는 참여연대 시절뿐 아니라 국회의원으로 활동할 당시 정무위원회에서 금융업계에 비판적인 모습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특히 전임자인 최흥식 전 원장이 특정 은행과 갈등 관계로 사임하게 됐다는 관측이 제기된 상황에서 최 전 원장보다 ‘강성’인 김 내정자가 금감원 수장을 맡게 돼 ‘호랑이를 피하려다 라이거가 왔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업계에서는 한마디로 ‘큰일 났다’는 분위기다”며 “아무래도 전임자가 안 좋게 나간 만큼 채용비리나 지배구조 등에 칼을 더 세게 휘두를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김기식 전 의원이 내정된 것은, 지배구조 개선이나 소비자 보호 등 전임자가 추진했던 업무를 강력하게 추진하라는 포석으로 읽힌다”며 “아무래도 강력하게 쇄신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보험업계도 화들짝 놀라는 분위기다. 김 내정자는 보험상품의 홈쇼핑 판매를 문제 삼는 등 보험산업에 비판적인 입장이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김 내정자는 보험업을 고객 돈을 받고서 보험금을 주지 않는 산업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벌써 엄청난 규제를 가하지 않을까 걱정과 우려가 많다”고 토로했다.

수수료 인하 등 새 정부 들어 규제로 힘들어하는 카드업계도 울상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의원 시절 최고금리를 대폭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 기억나다 보니 걱정이 많다”고 말했다.

금융업계는 김 내정자가 서민과 금융소비자뿐 아니라 금융산업도 아울러 고려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김 내정자가 시민사회단체에 있을 때나 국회의원 시절에 서민 입장에서 금융업계를 바라봤다면 금융당국 수장에 오른 만큼 금융산업의 부분도 심도 있게 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