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저격수서 금융당국수장으로…김기식 금감원장 내정자

정무위 저격수서 금융당국수장으로…김기식 금감원장 내정자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30 14:13
업데이트 2018-03-30 14: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대 국회 정무위원회 ‘저격수’로 불렸던 김기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의 재가만 떨어지면 금융감독원장으로 옷을 갈아입게 된다.

시민단체 등에서 얻은 전문성을 토대로 금융회사와 금융당국을 공격하던 입장에서 이제는 실제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정책 당국자로 변신하는 것이다.

김기식 내정자 특유의 개혁 성향은 사회생활 입문 때부터 두드러졌다. 1994년 참여연대 창립자 중 한 명이었고 이후 사무국장과 정책실장, 사무처장, 정책위원장 등 보직을 역임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나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참여연대 재직시절 인연을 맺었다.

장하성 실장은 1997년부터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장으로 재직한 바 있고, 김상조 위원장은 1999년에 경제민주화위원회 부위원장 겸 재벌개혁감시단장을, 2001년에는 경제개혁센터 소장을 지난 바 있다.

당시 인연이 이번 금감원장 인선에도 영향을 미쳤을 거라는 분석이 많다.

2011년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선거대책위원회에서 전략기획 특별보좌관으로 활동했고 이를 기반으로 2012년에 제19대 국회의원이 됐다.

당시 김 내정자는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국회 정무위를 배정받은 김 내정자는 시민단체 경력에 걸맞게 ‘저격수’나 ‘저승사자’ 등 별명으로 불렸다. 금융회사나 금융당국자들을 날카롭게 몰아붙이는 것으로 유명했다.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해선 은산분리 문제를 들어 부정적인 입장이었고,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부실 관리 문제를 집중적으로 질타한 적도 있다.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의 고리 대출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고 대부업 금리 인하 문제에 깊숙이 관여했다.

김 내정자는 ‘KB 사태’와 관련해 금융 ‘관피아(관료+마피아)’ 문제를 집중적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김 내정자가 금감원장으로 입성하면 이건희 삼성 회장의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차등 과세 부과, 금융그룹 통합감독, 금융사 지배구조 개선 등 재벌 관련 금융감독 이슈에서 상당한 목소리를 낼 것이란 전망이 많다.

신용카드 수수료나 저축은행 대부업체의 대출금리 등 이슈는 소비자보호 측면에서 접근할 것으로 예상된다.

▲ 경성고 ▲ 서울대 인류학과 ▲ 참여연대 정책실장·사무처장·참여연대 정책위원장 ▲ 제19대 국회의원 ▲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 민주당 정책위원회 원내 부의장 ▲ 국회 정무위원회 민주당 간사 ▲ 새정치민주연합 제2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 ▲ 더미래연구소장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