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환율

추락하는 환율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4-02 22:26
업데이트 2018-04-02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50원대… 3년 5개월만에 최저, 北 리스크 완화·美 약달러 압박

원·달러 환율이 3년 5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안으로는 북한 리스크 완화, 밖으로는 미국의 약(弱)달러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2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9원 내린 1056.6원에 거래를 마쳤다. 2014년 10월 30일 1055.5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전날 남측 공연단의 평양 공연으로 북한 리스크가 완화된 점이 환율 하락을 이끌었다. 한·미 간 ‘환율 합의’로 적극적인 시장 개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도 환율 하락을 부추긴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지난 1월 8일 원·달러 환율은 3년 2개월여 만에 1060원 선이 붕괴돼 1058.8원으로 떨어진 직후 다시 1069.9원까지 치솟았다. 외환 당국의 개입으로 추정됐다. 이렇듯 외환 당국은 환율이 적정 범위를 이탈하면 시장과 반대 방향으로 달러를 팔거나 사들이지만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는 않았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환율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수출 기업에는 적신호다. 떨어진 환율만큼 수출가격을 올릴 수 없어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 하락하면 수출은 0.51% 줄어든다. 산업별로는 기계 0.76%, 정보기술(IT) 0.57%, 자동차 0.40% 등이다.

다만 하락 폭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주요 대기업들이 이달 외국인 배당금 지급을 앞두고 있어서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날 연말 환율 전망치를 1100원으로 제시했다. 글로벌 경기보다 부진한 한국의 경기 모멘텀 등 환율 상승 요인이 하락 요인보다 더 크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4-03 18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