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농산물 4.7%↑·외식비 2.5%↑…전체물가는 6개월째 1%대

3월 농산물 4.7%↑·외식비 2.5%↑…전체물가는 6개월째 1%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03 10:02
업데이트 2018-04-03 1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쌀값 인상 여파 농산물값 ‘껑충’…외식품목 39개 중 37개 상승

한파 영향으로 크게 올랐던 농산물의 물가 상승 폭이 3월에는 다소 둔화했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외식비는 원재료·최저임금 인상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대부분 품목에서 올랐다.

전체 소비자물가는 6개월 연속 1%대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지난해 9월까지 2% 내외였던 소비자물가는 10월 1%대로 떨어진 이후 반년 연속 1%대를 기록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가 6개월 연속으로 2%를 밑돈 것은 2016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소비자물가는 2012년 11월부터 2%를 넘지 않았다.

품목별로 보면 전달 한파 영향으로 급등했던 농·축산물 물가는 채소류 가격 안정, 축산물 가격 하락세 등으로 상승 폭이 줄었다.

농산물 물가는 1년 전보다 4.7% 상승해 전체물가를 0.21%포인트(p) 끌어올렸다.

농산물 물가 상승 폭은 전달(7.4%)보다 줄었다.

다만 곡물이 20.1% 올랐다. 1996년 6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다.

곡물 가격은 작년 12월 11.9% 상승한 후 지난 1월 13.3%, 2월 15.9%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곡물 가격 상승은 26.4% 가격이 오른 쌀이 주도했다. 생산량이 감소한 탓이다.

축산물 가격은 달걀,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로 작년보다 3.9% 하락했다. 전체 물가를 0.10%p 끌어내렸다.

수산물은 1년 전보다 5.2% 상승해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컸다. 특히 생산량이 감소한 오징어(33.1%)가 많이 올랐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2월 한파로 크게 상승했던 농산물 물가 상승 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석유류는 3.2% 올라 전체 물가를 0.15%p 올렸다. 국제 유가 보합세에도 환율 절상 등 영향으로 상승 폭이 전달(4.0%)보다 축소됐다.

서비스 물가는 1.7% 올라 전체 물가를 0.94%p 끌어올렸다.

개인서비스는 1년 전보다 2.5% 올랐다. 특히 가사도우미료(11.0%)가 2007년 12월(12.1%)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비도 2.5%가 올랐다.

외식비는 전달(2.8%)보다 상승폭이 둔화됐지만 1% 초반대에 머무는 전체 물가 상승폭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특히 물가 조사 대상인 외식품목 39개 중 피자와 학교급식비를 제외한 37개 품목에서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자는 1년 전과 변동이 없었고 급식비는 전달보다 13.0% 하락했다.

외식물가는 특히 서울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서울 외식비는 1년 전보다 3.2% 상승해 2016년 2월(4.0%) 이후 2년여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외식비 인상의 최저 임금 인상 영향에 대해 김 과장은 “외식 인식 요인에는 원재료, 임차료도 있을 수 있고 물론 인건비도 있다”며 “복합적이라 한 가지로 말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서민들의 체감 물가지수인 생활물가지수는 1.1% 상승하면서 지난달(1.4%)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이중 식품 물가는 1.2%, 식품 이외는 1.0% 올랐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신선식품지수는 1.0% 상승해 전달(4.3%)보다는 상승 폭이 축소됐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3% 상승해 지난달(1.2%)보다 다소 덜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정부는 축산물 가격과 공공요금 안정세로 소비자 물가는 당분간 큰 등락을 보이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관계자는 “가격 강세를 보이는 일부 채소류에 대해 수급·가격 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소비자단체와 연계한 물가 감시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