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전막차’ 3월 가계빚 5조↑…1분기 기타대출 증가 역대최대

‘규제전막차’ 3월 가계빚 5조↑…1분기 기타대출 증가 역대최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4-11 14:22
업데이트 2018-04-11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계대출 증가세 여전히 강해…은행 주택대출 증가폭 확대

가계 빚이 지난달에만 5조원이 늘었다.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등 강화된 대출규제 도입되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는 수요가 많아서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조치 시작을 앞두고 주택매매도 많았다.
가계대출 관련 안내데스크. 서울신문DB
가계대출 관련 안내데스크.
서울신문DB
마이너스 통장 등 은행 기타대출 1분기 증가 폭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1일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과 보험, 상호금융, 저축은행, 여신전문업체, 새마을금고 등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5조원 증가했다.

지난해 3월 증가폭(5조5천억원)과 비교하면 5천억원 줄었다.

1분기 기준으로는 13조4천억원이 늘어 지난해 1분기(15조3천억원) 보다 1조9천억원 축소됐지만 여전히 강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은행권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은 더 늘었다.

지난달 말 776조3천억으로 한 달 전보다 4조3천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전월 대비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작년 11월(6조7천억원) 이후 최대였다. 3월 기준으로도 작년(2조9천억원)보다 확대했다.

다만 2015∼2016년 3월 평균 증가액(4조8천억원)보다는 적었다.

가계대출 증가는 지난달 말 DSR 등 강화한 대출규제 정책 도입을 앞두고 대출을 앞당겨 받은 여파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이사철이라는 계절 특징과 정부 대책 등이 가계대출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은행권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은 2조8천억원 늘어난 576조원이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도 작년 12월(2조8천억원) 이후 3개월 만에 최대다.

금융위는 “이달 1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조치 적용을 앞두고 주택매매거래량이 늘어나서 주택담보대출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작년 10∼12월 1만호를 밑돌았으나 올해 1월 1만호, 2월 1만1천호에 이어 지난달 1만4천호로 증가세다.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대출 등을 아우르는 은행 기타대출은 1조5천억원 증가한 199조4천억원을 기록했다.

기타대출 증가액은 설 상여금 효과로 2월 7천억원으로 쪼그라들었으나 지난달 증가 폭을 다시 키웠다.

1분기 은행 기타대출 증가액은 3조6천억원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8년 이래 동 분기 기준으로 가장 컸다.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하면서 기타대출 수요가 많아지는 ‘풍선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다만 “인터넷 전문은행이 들어오면서 기타대출 등 영업을 강화한 점도 있다”며 “과거 기타대출 상황과 비교하기엔 여건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2금융권 대출은 7천억원 늘었다. 지난 2월 증가폭(8천억원) 보다 1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은 전월과 유사했으며 보험은 1천억원 늘었다.

또 저축은행은 주택담보대출(500억원)이 늘어나며 1천억원 늘었고, 여신전문회사들은 카드 대출이 늘어나며 5천억원 증가했다.

금융위는 “향후 금리상승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와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신용대출 및 자영업자대출 증가 등이 문제 될 수 있다”며 “선제적인 가계부채 관리 노력을 지속하면서 조속한 시일 내 2018년 가계부채 위험요인 점검에 따른 대응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