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6시 ‘칼퇴’… TV홈쇼핑업계 줄줄이 근로시간 단축

오후 6시 ‘칼퇴’… TV홈쇼핑업계 줄줄이 근로시간 단축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06-05 18:24
업데이트 2018-06-05 18: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S 등 ‘PC오프제’ 잇달아 시행

야근땐 사전 승인·유연근무도
절대 업무량 줄지 않은 상태서 주 52시간 근로 정착될지 주목

일년 내내 방송이 진행되는 업무 특성상 시간 외 근로 비중이 높은 직종 중 하나인 TV홈쇼핑 업계가 근로시간 단축에 소매를 걷어붙였다.

GS홈쇼핑은 다음달 1일 근로기준법 시행에 앞서 ‘PC오프제’를 전면 시행하는 등 주 40시간 근로제 정착에 나선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오전 8시 45분 전에는 PC를 켤 수 없고, 오후 6시에는 PC가 자동으로 종료된다. 또 매일 오후 6시 정각이 되면 퇴근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울리고, 6시 15분에는 사무실이 자동 소등된다. 추가 근무는 법적 한도 12시간 내에서 사전 신청·승인이 이뤄졌을 때만 가능하다.

이 밖에도 오전 10~11시, 오후 2~4시는 ‘집중 근로시간’으로 지정해 미팅 등을 최소화하도록 했다.

정보기술(IT) 등 업무가 특수한 부서에는 2주 단위로 탄력적 근로시간제도 도입할 예정이다. 불가피한 상황으로 한 주에 업무가 52시간을 초과할 경우 그 다음주의 근무 시간을 줄여 2주 평균 근로시간을 주당 52시간 이내로 유지하는 방식이다. GS홈쇼핑 측은 시범 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한 뒤 다음달 1일 정식 운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CJ오쇼핑도 지난달부터 PC오프제와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주당 40시간 근무를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하게 연장근무가 필요할 경우 다음날 근무시간에서 끌어다 쓸 수 있는 제도다. 예컨대 오늘 2시간 야근을 하면 다음날 2시간 늦게 출근하거나 2시간 일찍 퇴근할 수 있다. 다만 야근은 주당 12시간 내에서만 가능하며, 사전에 담당 임원의 결재를 받아야 한다.

롯데홈쇼핑도 PC오프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직군별 상황에 맞는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NS홈쇼핑도 이달부터 잔업 시간만큼 일찍 퇴근할 수 있게 하는 유연근무제를 도입했다.

일각에서는 업무 절대량이 줄지 않은 상태에서 실제로 제도가 정착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늦은 시간까지 생방송이 진행되는 데다 MD 등 일부 직군은 상품 기획부터 판매까지 전담해야 하기 때문에 공식 일과가 끝나더라도 방송이 끝날 때까지는 사실상 쉴 수 없는 상태”라면서 “인력 충원 등을 통해 개인이 맡는 업무량이 줄어야 진정한 의미의 근로시간 단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06-0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