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전력난 ‘걱정 끝’…“최대수요보다 공급전력 28GW 넉넉”

올여름 전력난 ‘걱정 끝’…“최대수요보다 공급전력 28GW 넉넉”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6-18 09:42
업데이트 2018-06-18 0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년 무더위를 앞두고 전력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올여름은 전력 공급상황이 무난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18일 전력통계정보시스템과 업계에 따르면 올 여름철(6∼8월) 설비용량 예상치는 약 118GW 수준일 것으로 예측됐다. 설비용량이란 국내 모든 발전설비를 동원해 생산해낼 수 있는 전력 규모를 의미한다.

겨울철인 올해 2월 기록했던 역대 최대 전력수요가 약 87.6GW였음을 감안해 올여름 예상 최대 전력수요를 90GW로 가정한다면, 28GW 정도 여유가 있는 셈이다.

올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가 겨울철 최대 전력수요를 크게 넘어서지 않을 것으로 예측한 이유는 대부분 겨울철에 그 해의 최대 전력수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0년간 최대 전력수요를 기록한 시점을 살펴보면 ▲ 2009년 12월(6만6천797MW) ▲ 2010년 12월(7만1천308MW) ▲ 2011년 1월(7만3천137MW) ▲ 2012년 12월(7만5천987MW) ▲ 2013년 1월(7만6천522MW) ▲ 2014년 12월(8만154MW) ▲ 2015년 2월(7만8천790MW) ▲ 2016년 8월(8만5천183MW) ▲ 2017년 12월(8만5천133MW) ▲ 2018년 2월(8만8천238MW)로, 2016년을 제외하고는 계절상 모두 겨울이었다.

지난 10년간 매년 여름철 최대 전력수요와 설비용량 추이를 살펴보면, 공급이 수요를 앞지르는 방향으로 그 간극이 점차 벌어지는 추세다.

2008년 여름철에는 설비용량이 7만353MW, 최대전력 수요가 6만2천794MW로 그 차이가 7천559MW였지만, 2013년에는 1만1천66MW, 2014년 1만2천873MW, 2015년 1만9천530MW, 2016년 1만4천586MW, 2017년 2만8천883MW로 갈수록 간극이 커지고 있다.

설비용량에서 고장이나 예방 정비를 위해 일시적으로 가동을 멈춘 설비들의 발전량을 뺀 개념인 ‘공급능력’에서 최대 전력수요를 뺀 ‘공급예비력’도 이번 달 9∼26GW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현재 정비 중인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설비가 다시 가동되면 공급예비력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추산으로 7월에 7.4GW, 8월에 2.8GW 등 올 여름철에 약 10GW 이상이 더해질 전망이다.

공급예비력이 5GW 밑으로 떨어져 전력수급 위기경보가 발령되는 상황도 지난 2013년 8월(당시 공급예비력 4.7GW) 이후 아직 없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전력설비를 확충하는 것보다 오히려 기존 설비의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수요자원(DR, Demand Response) 시장을 발전하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