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침대’ 사용자 피폭 상세평가 필요…DB도 구축해야”

“‘라돈침대’ 사용자 피폭 상세평가 필요…DB도 구축해야”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6-19 14:15
업데이트 2018-06-19 1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방사선방어학회 기자간담회서 제안

이미지 확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가 17일 서울 도봉우체국에서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수거한 ‘라돈침대’ 매트리스의 잔여 방사성 물질 측정검사를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논란이 불거진 대진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16일과 17일 집중 수거를 실시했다. 2018.6.17 뉴스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가 17일 서울 도봉우체국에서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수거한 ‘라돈침대’ 매트리스의 잔여 방사성 물질 측정검사를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논란이 불거진 대진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16일과 17일 집중 수거를 실시했다. 2018.6.17
뉴스1
‘라돈침대 사태’를 불러온 대진침대 매트리스를 쓴 사람들의 피폭선량을 재평가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라돈은 국제암연구센터(IARC) 지정 1급 발암물질로, 폐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졌다.

이재기 방사선안전문화연구소장(원자력안전위원회 비상임위원)은 19일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발표된 추정 (피폭)선량은 단순한 모델과 가정에 근거한 예비평가 수준”이라며 “(침대 매트리스) 모델별, 사용 환경별로 상세하게 재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대한방사선방어학회의 권고로 발표를 맡았다. 이 학회는 1977년 창립된 국내 방사선 분야 대표 학술단체로, 회원수는 1천600명 정도다.

이 소장은 또 피폭선량 상세평가에는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대진침대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침대 사용 기간 및 집에 대한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이 소장은 이어 대진침대를 비롯한 모나자이트 사용 제품 중 소비자가 유의해야 할 제품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의할 제품이 생산된 시기와 모델명 등 범위를 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아울러 앞으로 ‘대진침대 사건’과 유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사선안전 문제를 총괄하는 방사선방호법을 신설해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이번 일을 ‘백서’로 내년 6월께 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