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병·열사병 조심”…5년간 온열질환으로 54명 사망

“일사병·열사병 조심”…5년간 온열질환으로 54명 사망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6-25 10:10
업데이트 2018-06-25 1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본 “한낮 야외활동 자제하고, 수분섭취·휴식 신경써야”

최근 5년간 폭염으로 일사병과 열사병 등 온열질환에 걸린 환자가 6천500명 발생해 이 가운데 54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의 76%는 50세 이상으로, 폭염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7월부터는 고령자들이 더위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보건당국이 당부했다.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 시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증상이 나타나고, 방치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2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2013∼2017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6천500명이다. 이 가운데 40%(2천588명)는 정오에서 오후 5시 사이 논밭과 작업장 등 실외에서 발생했다.

환자는 고령자에서 많이 나왔다. 전체 환자에서 5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56%였고, 사망자 중 50세 이상의 비율은 75.9%에 달했다.

올해는 현재까지(5월 20일∼6월 23일) 113명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됐고,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대표적인 온열질환은 일사병과 열사병이다. 일사병은 더운 곳에서 장시간 일하거나 직사광선을 오랜 시간 받아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질환이고, 열사병은 무덥고 밀폐된 공간에서 일하거나 운동할 때 체온에 문제가 생기는 질환이다.

온열질환자가 급증하는 7월부터는 물 자주 마시기,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하기 등 건강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폭염 시에는 갈증을 느끼기 이전부터 규칙적으로 수분을 섭취해야 하고 어지러움과 두통, 메스꺼움 등 온열질환 초기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해야 한다.

폭염 주의보나 경보 발령 때에는 가능하면 정오부터 오후 5시까지 ‘위험 시간대’ 활동을 줄이고, 활동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챙 넓은 모자와 밝고 헐렁한 옷 등을 착용해 온열질환을 예방해야 한다.

햇빛이 강할 때 술이나 다량의 카페인 음료를 마시고 작업하면 위험하다. 또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뇌졸중 등이 있는 사람은 폭염에 더 취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일사병과 열사병이 생기면 환자를 즉시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 체온을 내려준 뒤 의료기관을 방문한다. 환자에게 수분 보충은 도움이 되지만 의식이 없는 경우 질식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수를 억지로 먹이지 말고 119에 신고해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