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가 사망 앞당긴다…47%는 ‘뇌졸중’ 때문”

“미세먼지가 사망 앞당긴다…47%는 ‘뇌졸중’ 때문”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6-25 11:21
업데이트 2018-06-25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뇌졸중학회 “성장기·청년기 노출 더욱 주의해야”

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 중 절반 가까이는 뇌졸중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대한뇌졸중학회는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 홍윤철 교수팀이 2015년 우리나라 지역별 초미세먼지(PM 2.5) 농도와 기대수명, 질병과 생존 기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를 보면 한 해 동안 초미세먼지로 인한 조기 사망은 1만1천900명으로 집계됐다. 질환별로는 뇌졸중이 47.4%(5천646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심장질환 27.8%(3천303명), 폐암 19.6%(2천338명) 등의 순이었다.

학회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미세먼지가 호흡기 질환보다 뇌졸중 같은 혈관성 질환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조사 결과와도 비슷한 맥락이라는 게 학회의 설명이다. 학회 자료를 보면 전세계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질환별 사망자 수는 뇌졸중과 허혈성 심장질환이 각각 40%로, 전체 사망자의 80%를 차지했다. 나머지 20%는 폐암과 호흡기 질환이었다.

학회 나정호 이사장(인하대병원 신경과)은 “미세먼지 중에서도 초미세먼지는 기관지 섬모에 의해 걸러지지 않고 폐포의 모세혈관을 통해 우리 몸에 흡수된다”면서 “미세먼지가 혈액 속에서 돌아다니면서 염증 반응 증가, 동맥경화증 악화, 혈관세포 기능 저하 등에 따른 부정맥을 유발하고 이게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학회는 특히 성인기보다 성장기에 미세먼지 노출에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나 이사장은 “뇌졸중 사망률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건 현재 이 지역에 살고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성장기 또는 청년기에 이 지역에 살았는지 여부”라며 “이는 젊은 시절부터 미세먼지 등의 위험요인에 노출됐는지가 건강에 중요하다는 의미인 만큼 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세계보건기구(WHO)가 분류한 미세먼지 조기사망 비율(2012년 기준)

┌────────────┬────────────┬───────────┐

│ 사망원인 │ 사망자수(1.000명) │ 비율(%) │

├────────────┼────────────┼───────────┤

│ 심장질환 │ 1505 │ 40.3 │

├────────────┼────────────┼───────────┤

│ 뇌졸중 │ 1485 │ 39.8 │

├────────────┼────────────┼───────────┤

│ 만성폐질환 │ 389 │ 10.4 │

├────────────┼────────────┼───────────┤

│ 폐암 │ 227 │ 6.1 │

├────────────┼────────────┼───────────┤

│ 급성하기도 감염 │ 127 │ 3.4 │

├────────────┼────────────┼───────────┤

│ 계 │ 3733 │ 100.0 │

└────────────┴────────────┴───────────┘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