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금융 법제화 추진… 금융사 7곳 ‘착한 투자’ 나선다

사회적 금융 법제화 추진… 금융사 7곳 ‘착한 투자’ 나선다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8-07-01 23:04
업데이트 2018-07-02 01: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문제 해결하며 동시에 수익창출 모델

‘임팩트금융’ 사회적 가치에 모험적 투자도
지난해 8월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와 함께하는 사회적 금융 포럼 발족식’에서 최종구(앞줄 맨 오른쪽) 금융위원장, 이헌재(네 번째) 임팩트금융추진위원장, 유승민(다섯 번째) 바른미래당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8월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와 함께하는 사회적 금융 포럼 발족식’에서 최종구(앞줄 맨 오른쪽) 금융위원장, 이헌재(네 번째) 임팩트금융추진위원장, 유승민(다섯 번째) 바른미래당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것은 더는 국가의 최우선 과제가 아니다. 가치 중심의 사회, 공동체 정신을 중요시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지난해 8월 재무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추구하는 ‘사회적 금융’(임팩트금융) 법제화가 추진됐다. 임팩트금융이란 2007년 미국 록펠러재단이 처음 사용한 개념으로 일자리, 환경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자함과 동시에 수익 창출이라는 자본주의의 기본원리에 충실한 금융 형태를 말한다. 이제 착한 기업뿐 아니라 착한 금융과 착한 투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경제적 가치만 좇아서는 더이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없다는 데서 시작했다. 당시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던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발족식에서 기존 경제 패러다임이 돈 버는 일에만 몰두했다면 임팩트경제는 사회·문화적 가치에 주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젊은이들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일에 도전할 수 있게 해 줘야 한다”면서 “당장 매출과 이윤을 만들어내는 일이 아니지만 사회적 가치를 지닌 활동도 중요한 경제활동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후 열 달 후, 국내 주요 금융사들은 이 ‘임팩트금융’에 힘을 보태고 있다. 신한은행·KEB하나은행·우리은행·부산은행·키움저축은행·한국투자저축은행 등 7개 금융사는 지난달 28일 국내 최초의 임팩트금융 플랫폼인 ‘한국임팩트금융’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한국임팩트금융은 이런 착한 투자문화를 한국 사회에 소개하기 위해 이 전 경제부총리가 주도해 지난해 10월 설립된 회사다. 출자금액은 금융사별로 1억 9000만원(전북은행은 1억원)이다. 금융사의 공공적 기능인 사회적 가치 창출 기업 지원을 활성화하고 정부의 생산적 금융, 포용적 금융, 사회적 금융 강화 정책에 동참하기 위한 차원이다. 대표적인 예가 록펠러재단을 비롯해 포드재단, 빌게이츠재단 등이 벌이는 활동이다.

또 임팩트금융은 정부가 담당하던 복지정책 일부를 맡는다. 정부가 하는 사회적기업 투자는 세금으로 운용되는 만큼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하고 정부가 개입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사업 확장이 어렵다. 반면 임팩트금융은 보다 모험적인 투자를 할 수 있는 데다 유연하다는 장점이 있다. 임팩트금융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가치를 증대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만간 폐교 건물 재활용과 지역 유휴시설 활용 등 지역 개발 프로젝트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8-07-02 1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