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계 “불황 넘자” 화장품시장에 러브콜

백화점계 “불황 넘자” 화장품시장에 러브콜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8-07-02 22:28
업데이트 2018-07-03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세계 ‘시코르’ 용산에 13호점
롯데, 본점에 편집매장 ‘라코’
현대, 명품 佛 지방시 뷰티 입점


백화점업계가 계속되는 시장 침체기를 극복하고 오프라인 유통매장으로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화장품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H&B(헬스앤뷰티)스토어의 성장에 힘입어 자체적인 화장품 편집매장 브랜드를 내놓는가 하면, 글로벌 인기 뷰티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면서 고객몰이에 한창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백화점들이 저마다 화장품 전문매장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표주자는 신세계백화점이다. 신세계백화점은 2016년 12월 화장품 전문 편집매장 ‘시코르’를 처음 선보인지 약 1년 6개월만에 최근 용산구 아이파크몰에 13번째 매장을 문열었다. 업계에서는 이례적으로 자체 브랜드 매장을 백화점 점포뿐 아니라 가두매장도 함께 선보여 눈길을 끌기도 했다.

롯데백화점도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본점 영플라자 1층에 화장품 편집매장 ‘라코’를 문열었다. 라코는 롯데백화점이 기존에 운영해온 편집매장 ‘라 코스메티크’를 재정비한 브랜드다. 롯데 측은 라코를 통해 10~30대 젊은층을 집중 공략하는 전략으로 시장 재도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런가하면 현대백화점은 고급화 전략으로 차별화에 나섰다. 화장품업계에 따르면 현대백화점은 프랑스의 명품 화장품 브랜드 ‘지방시 뷰티’ 1호점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인다. 오는 31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본점에 1호점을 문여는데 이어 다음달에는 신촌점에 2호점을 개장할 예정이다. 이로써 현대백화점은 샤넬, 디올, 톰포드, 입생로랑에 이어 글로벌 5대 명품 화장품 브랜드를 모두 갖추게 됐다. 현대백화점은 압구정본점을 럭셔리 뷰티 특화 매장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백화점업계가 화장품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불경기가 오면 패션, 잡화 등은 즉각적으로 매출이 줄어들지만 화장품은 불황에도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데다, 최근에는 나를 위해 투자하는 소비 트랜드가 자리잡으면서 기존 여성 고객 위주에서 남성이나 실버 고객까지 화장품 구매층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기 때문에 더욱 잠재력이 높은 품목”이라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8-07-03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