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저장고·석빙고서 아이디어… ‘복사 냉방’ 원리 구현 집중했죠”

“와인저장고·석빙고서 아이디어… ‘복사 냉방’ 원리 구현 집중했죠”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7-03 22:48
업데이트 2018-07-03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 무풍에어컨 탄생 스토리

‘직풍’ 싫어하는 소비자 배려
스피커 참고 미세바람 송출
바람문은 카메라렌즈 접목
이미지 확대
‘무풍에어컨’
‘무풍에어컨’
무덥고 습한 요즘에는 시원함을 원하면서도 찬 바람을 직접 맞는 것을 꺼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삼성전자는 이런 ‘아이러니’한 소비자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와인저장고나 석빙고와 같은 ‘복사냉방’ 원리를 에어컨에서 구현하는 데 집중했다. 서형준 삼성전자 소비자가전부문(CE) 마스터(에어컨 개발 담당)는 3일 서울 중구 태평로빌딩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무풍에어컨’ 개발에 얽힌 이야기를 풀었다.

서 마스터가 직접 개발에 참여한 무풍에어컨은 복사냉방에 근접한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직접 닿는 찬 바람 없이 실내 적정 온도를 유지한다. 운전을 시작하면 처음엔 보통 에어컨처럼 직풍(회오리냉방)으로 실내 온도를 빠르게 떨어뜨린다. 실내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무풍냉방으로 전환, 실내 온도를 유지한다. 강한 바람이 나오는 ‘바람문’을 닫고 대신 ‘메탈 쿨링 패널’의 13만 5000개 구멍으로 미세바람을 내보낸다.

개발진은 무풍냉방 기술을 현실화하기 위해 스피커, 카메라 등에서 아이디어를 따왔다. 서 마스터는 “메탈 쿨링 패널을 최적화하기 위해 무수한 구멍이 뚫린 스피커 금속 부품을 참고했다”면서 “바람문 구동 원리엔 카메라 망원렌즈 움직임이 접목됐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016년 스탠드형 무풍 에어컨을 처음 선보인 뒤 무풍 기술을 적용한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서 마스터는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무풍에어컨 악취 발생 논란에 대해 “모든 에어컨은 열교환기에 습기가 발생한다. 이를 잘 건조하지 않으면 냄새가 날 수 있다”면서 “구멍이 있는 무풍에어컨은 오히려 통기성이 좋다”고 설명했다.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7-04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