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청년들 불행하다…집값 내려야”

국민 10명 중 7명 “청년들 불행하다…집값 내려야”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05 09:25
업데이트 2018-07-05 0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가정양립 해결’ 책임 주체는 정부>남편>기업 순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
연합뉴스 자료사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7명 정도가 청년들이 불행하다고 여기며, 자신과 국가를 위해서라도 집값이 내려가야 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과 가정의 양립에 책임이 있는 주체로는 정부에 이어 남편을 두 번째로 꼽아 가정에서 남편이 제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5∼6일 주최한 2018년 제1차 인구포럼에서 보사연 이상림 연구위원과 유재언 부연구위원은 이런 내용의 ‘저출산·고령화 시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들은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불행하다(매우 불행+조금 불행)’는 응답이 73.4%나 됐다. ‘행복하다(조금 행복+매우 행복)’는 응답은 26.6%에 그쳤다.

‘우리나라 아이들은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도 52%는 ‘불행하다’고, 48%는 ‘행복하다’고 대답했다.

대상을 노인으로 바꾼 같은 질문에 ‘불행하다’는 답변이 59.1%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행복보다는 불행 쪽의 비율이 높았다.

응답자들은 대체로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꼽히는 주거문제와 관련해 집값 하락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와 우리나라의 미래를 위해 주택가격이 앞으로 어떻게 변화돼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하락해야 한다(대폭 하락+소폭 하락)’는 응답이 69.8%에 달했다. ‘유지돼야 한다’는 22.5%, ‘상승해야 한다(소폭 상승+대폭 상승)’는 7.7%에 불과했다.

87.3%는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청년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우리나라에서 일·가족 양립 문제 해결을 위해 누구의 역할이 가장 크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45.8%가 정부를 첫손으로 꼽았다. 이어 남편 17.5%, 기업 15.7%, 지역사회 13.6% 등의 순이었다. 아내의 역할이 가장 크다고 답한 비율은 7.4%에 그쳤다.

‘현재까지 정부의 출산·양육 지원정책이 자녀양육 가구에 도움이 됐느냐’는 물음에 46.4%가 ‘도움이 됐다(조금 도움+매우 도움)’고 했으며, ‘도움이 안 됐다(전혀 안 됨+매우 안됨)’는 대답은 53.6%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있는 경우(47.0%) 미혼자(38.6%)보다 출산·양육 정책이 도움됐다는 응답이 더 많았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지원이 충분했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불충분했다’(76.1%)가 ‘충분했다’(23.9%)보다 훨씬 많았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2천명을 대상으로 지난 6월 중순 유무선 전화면접으로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오차범위는 ±2.2%포인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