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1%p 오르면 부채 보유가구 연평균 이자 94만원 증가”

“금리 1%p 오르면 부채 보유가구 연평균 이자 94만원 증가”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7-05 10:25
업데이트 2018-07-05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회 예산정책처 분석 “저소득·자영업·고령가구 부담 커져”

서울의 한 은행 앞에 걸린 대출안내 광고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의 한 은행 앞에 걸린 대출안내 광고판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서울신문 DB
금리가 1%포인트 오를 경우 변동금리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이자 부담은 연평균 94만1천원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예산정책처는 5일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이자상환부담 추산’ 보고서에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예정처는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진으로 시장 금리 인상 기조가 확대되는 가운데 금리가 1%포인트 오르는 상황을 가정해 가구들의 이자 부담을 추산했다.

이 경우 변동금리 부채 보유가구의 연평균 이자 지급액은 기존 402만5천원에서 496만6천원으로 94만1천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12% 수준이다.

특히 금리가 인상되면 저소득 가구와 자영업 가구, 고령 가구의 이자 지출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이자 지급액 비율은 5.8%포인트 늘어 5분위 가구(1.6%포인트)에 비해 증가 폭이 컸다.

자영업 가구의 이자 지급액 증가분은 122만2천원으로 평균을 크게 웃돌았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이자 지급액 비율 상승 폭도 2.6%포인트로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가구주가 60대 이상인 경우의 처분소득 대비 이자 지급액 비율 상승 폭이 3.3%포인트로 가장 높았다.

예정처는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고 소득 변동성이 큰 가구에서 금리 인상 시 이자 지급액 부담의 변화가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채 상환능력을 고려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