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졸업 후 첫 취업까지 10.7개월… 0.1개월 늘어

대학 졸업 후 첫 취업까지 10.7개월… 0.1개월 늘어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7-18 22:38
업데이트 2018-07-19 00: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통계청 ‘5월 청년층 경제활동’ 조사

고용 한파 탓에 청년들이 첫 직장을 잡을 때까지 평균 11개월 가까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렵사리 구한 첫 직장이지만 근로 여건 등이 기대에 못 미쳐 3명 중 2명꼴로 입사 후 14개월 만에 그만두는 것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임금 근로자가 대학 졸업(3년제 이하 포함) 후 첫 취업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10.7개월이다. 이는 1년 전보다 0.1개월 늘어난 것이다.

첫 직장의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5.9개월로 1년 전보다 0.3개월 증가했다. 또 첫 일자리를 그만둔 임금 근로자는 전체의 62.8%로 1년 전보다 0.8% 포인트 상승했다. 이들의 평균 근속 기간은 1년 1.9개월로 1년 전보다 0.2개월 늘었다. 첫 일자리를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근로시간 등 근로 여건 불만족이 51.0%로 가장 많았다. 이어 건강·육아·결혼 등 개인적 이유 14.2%, 임시·계절적 일의 완료 12.4% 등의 순이었다.

첫 직장에서 받는 월급이 100만~150만원인 청년은 31.4%로 1년 전보다 6.4% 포인트 하락했다. 대신 월 150만∼200만원을 받는 청년은 33.8%로 4.1% 포인트 상승했다. 올해 최저임금이 지난해보다 16.4%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어 200만∼300만원 15.3%, 50만∼100만원 13.5%, 50만원 미만 4.2%, 300만원 이상 2.0% 등으로 뒤를 이었다.

최종 학교 졸업 또는 중퇴 후 취업한 경험이 있는 청년은 전체의 86.5%였다. 나머지 13.5%는 학업을 마친 뒤 줄곧 ‘백수’라는 의미다. 대학 졸업자는 졸업까지 평균 4년 2.7개월이 걸렸다. 1년 전보다 0.4개월 길어졌다. 휴학 경험 비율도 44.4%로 1.3% 포인트 상승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7-19 1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