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연령인구 작년 급감…고령화 속도 日보다 빨라

생산연령인구 작년 급감…고령화 속도 日보다 빨라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8-08-27 22:18
업데이트 2018-08-28 00: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 인구주택총조사’ 살펴보니

고령화사회 17년 만에 노인이 14.2%
시·군·구 중 73%가 15~64세 인구 줄어


2016만가구 중 1인 가구가 28.6% 차지
1인 가구 70세 이상 18%…30대는 17%
지난해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사상 처음으로 줄었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 공식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142만 3000명으로 전년(5127만명)에 비해 15만 3000명(0.3%) 증가했다. 내국인은 4994만 3000명으로 8만 7000명(0.2%), 외국인은 147만 9000명으로 6만 5000명(4.6%) 늘었다. 연간 인구증가율 0.3%는 1949년 인구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인구가 실제로 감소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뜻이다.

이 가운데 생산연령인구인 15~64세 내국인은 3619만 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만 6000명(0.3%)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전체 17개 시·도 중 13개 시·도(76.5%)에 달했다. 전체 229개 시·군·구 중에서는 167개 시·군·구(72.9%)에서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했다.

인구 감소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통계청이 2016년 12월 발표한 ‘장래인구추계(2015~2065년)’에서는 생산연령인구가 2016년 3762만 7000명에서 2017년 3762만명으로 7000명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생산연령인구는 군인, 재소자, 해외공관 근무자 등을 제외하고 실제 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구를 뜻한다. 하지만 이번에 확정된 생산연령인구 감소폭은 예상을 훨씬 웃돌았다.

반면 고령인구는 늘었다.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는 711만 5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4.2%다. 2000년에 고령인구 비중 7.0%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17년 만이다.

고령화 속도가 세계적으로 빠른 일본이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가는 데 24년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가 유례없이 빠른 것이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7~14%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전국 가구수는 2016만 8000가구로 1년 전보다 33만 가구(1.7%) 늘었다. 국내 가구수가 2000만을 돌파한 것은 1955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뒤 처음이다. 대가족 중심의 가구 구조가 소가족으로 분화하면서 평균 가구원 수는 2.47명을 기록, 역대 처음으로 2.5명 밑으로 떨어졌다. 또한 1인 가구 비중이 28.6%로 가장 높았다. 1인 가구 중에는 70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이 18.0%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17.2%로 뒤를 이었다.

최진호 아주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고령사회 진입은 이미 예견된 일이고 계속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있어 상황이 단기간에 반전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면서 “기존보다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정책에 집중하고, 가족의 소중함을 심어 주는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08-28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