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자고 나면 연중 최고치 기록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자고 나면 연중 최고치 기록

류찬희 기자
입력 2018-08-31 16:12
업데이트 2018-08-31 1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자고 나면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가격 오름세는 파죽지세다. 뒷북대응에 정책 혼선, 현실성 떨어지는 정책이 집값 폭등을 불러왔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감정정원이 조사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에 따르면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45% 올랐다. 감정원이 아파트 시세 조사를 시작한 2012년 5월 이후 주간 상승률로는 6년 3개월 만에 최고치다. 다만, 이번 조사는 투기지역 지정, 서울시의 대규모 개발 보류 등의 정책은 반영되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작았던 강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0.47%에서 0.57%로 오름폭이 커졌다. 강동구가 0.64% 올랐고, 강남과 서초구 아파트값도 각각 0.59% 상승했다.

비강남권 아파트값 오름세가 눈에 띄었다. 지난 28일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곳도 아파트값이 내리지 않았다. 종로구는 0.23%에서 0.25%로, 중구는 0.30%에서 0.35%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동대문구는 0.34%로 같은 상승폭을 유지했다. 동작구는 투기지역 지정이 예견돼 오름폭이 0.80%에서 0.65%로 다소 줄었다. 그러나 서울 25개 구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

31일 부동산 114가 내놓은 주간 아파트값 조사 자료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이 0.57% 올랐다. 지난주 상승률 0.34%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 2월 첫째 주(0.57%)에 이어 6개월여 만에 다시 연중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다. 1∼8월 상승률은 12.42%로 지난해 연간 상승률(11.44%)을 넘어섰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27일 투기지역 지정만으로는 시장에 별다른 타격이 없었으나 종부세 강화 방침을 비롯해 잇단 대책이 쏟아지는 만큼 서울 집값이 계속 오를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