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 세대와 통해야 디자인 산다”

“밀레니얼 세대와 통해야 디자인 산다”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18-09-05 17:52
업데이트 2018-09-05 17: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유럽디자인연구소 가 보니

“시기마다 세계 디자인을 움직이는 세대가 있습니다. 요즘은 ‘밀레니얼 세대’의 생활과 소비 습관이 세계를 움직이지요.”
이미지 확대
펠리스 헤크(왼쪽) 삼성유럽디자인연구소장과 여홍구 부소장이 지난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 있는 연구소에서 게이밍 PC ‘오딧세이’ 개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펠리스 헤크(왼쪽) 삼성유럽디자인연구소장과 여홍구 부소장이 지난 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 있는 연구소에서 게이밍 PC ‘오딧세이’ 개발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영국 런던에 있는 삼성유럽디자인연구소(SDE) 트렌드랩의 카밀 해머러 파트장은 지난 3일(현지시간) 연구소가 밀레니엄 세대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유럽연구소 전체가 마찬가지지만 특히 트렌드랩 직원 5명은 밀레니얼 세대 문화를 체험하고 그들의 생활·사고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수시로 사무실을 나와 런던 거리를 누비며 카페와 식당 등을 찾는다. 해머러 파트장은 “유럽 젊은 세대들은 음식에 집중한다. 각 소셜미디어에 하루 수천만건의 음식 사진이 올라온다”면서 “이런 트렌드가 가정 내 소통의 중심을 부엌으로 가져다 놨다”고 말했다.

이런 점에 착안한 유럽연구소의 제안은 ‘패밀리허브’ 냉장고 3세대 사용자경험(UX) 디자인에 반영됐다. 유럽연구소는 식당에 제품을 놓고 실제로 장시간 사용하며 토론한 끝에 직관적이면서도 감성적인 UX 디자인을 제안했다.

삼성전자는 2000년 유럽연구소를 세웠다. 2005년에는 이탈리아 밀라노에도 연구소를 설립했으나 현재는 런던의 유럽디자인연구소와 통합했고, 밀라노는 분소로 운영 중이다. 유럽디자인연구소는 정보기술(IT)·가전과는 전혀 다른 ‘건축·가구·인류학’ 등 다양한 영역의 트렌드를 분석, 미래 소비자의 요구를 내다보고 이를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다. 여홍구 부소장은 “한국의 본사 디자인팀과 새로운 관점을 공유하거나 글로벌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 직원은 약 40명인데, 디자인 외에 인문학·경영학·패션 등 폭넓은 전공 분야와 다양한 국적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융복합 인재들이 머리를 맞대고 있다. 삼성전자는 서울과 런던을 비롯해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도 노이다, 브라질 상파울루, 중국 베이징, 일본 도쿄 등 총 7곳에 글로벌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유럽디자인연구소가 직접 개발한 대표적 제품은 게임 마니아들의 주목을 받은 게이밍 PC ‘오딧세이’ 시리즈다. 오딧세이는 ‘중성적’ 느낌을 강조했으며 6각형 형태의 ‘헥사’ 디자인을 적용한 게 특징이다.

런던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8-09-0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